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2주차강의 '나 이제 부동산 공부 제대로 하나봐'를 느끼게 된
너바나님의 [투자고수되는법] 강의였어요
제가 투자고수가 되는 날을 고대하며 강의 들으며 두서없이 적었던 것들 강의 후기로 올립니다.
부린이가 궁금한 4가지!
1. 10년 뒤 가장 가격이 많이 오를 아파트를 찾는법
2. 앞으로 부동산 가격은 오를까? 떨어질까? 부동산 이제 끝난 게 아닐까?
3. 200억 부자의 투자 레시피 - 도대체 너바나는 어떻게 투자하는 거야?
4. 투자전문가 되는 과정 -> 그럼 나는 앞으로 6개월간 어떻게 해야 하지?
10년뒤 가장 가격이 많이 오를 아파트 찾는 법(가치 판별하는 법)
10년뒤 가장 가격이 많이 오를 아파트 찾는 법은
다시 말해 그만한 가치가 있는 아파트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부동산의 입지 기준 - 직장, 교통, 학군, 환경, 호재, 브랜드
내 수요보다는 타인의 수요 관점
투자는 타인의 수요가 중요하다
자본주의는 옳고 그름이 없다
투자1년차 : 잃지 않는 것
실력 = 10년 동안 평균 수익률
수익률 = 수익/투자금/투자기간
똘똘한 한채 vs 다주택
돈>시간 : 성장가치투자(서울)
돈x,시간많다 저평가 가치투자(지방)
포지션 정하기
투자하는 직장인
직장인 투자자
앞으로 가치가 오르는 지(수요, 공급)
적절한 투자금, 전세금 상승
좋은 타이밍 - 무릎이하에서 사기
수익률, 수익 둘 다 중요
인내(투자시장, 가치 신뢰)
투자에서 수익이 날때는 기다릴때
인내는 내가 투자매물의 가치에 대한 신뢰가 있어야 생김
적정전세가율
서울 70%, 강남 60%, 경기도 80%, 지방 80%
입지독점성 or 입주물량 적은 곳
잃지마라
절대 잃지마라
이 물건을 통해 내가 겪을 수 있는 최악의 손실은?
첫째, 이 물건은 내 목표수익률에 적합한가? (연 10%수익)
둘째, 이 아파트 값은 떨어지지 않을까?
=> 재건축아파트 조심
과거 3년의 경험이 이게 계속 거라고 생각함
최악의 상황에서 이 물건은 얼마나 떨어질까?
이 물건의 안전 마진은 얼마인가?
혹시 전세가가 빠질 수는 없을까?
이 물건의 전세가는 얼마일까?
이물건의 적정 전세가율은 얼마일까?
이 물건은 수요가 많고 입지 독점성을 갖는가?
이 물건은 단기 입주물량은 적정한가?
5. 리스크 관리
일본의 워런버핏 - 사와카미 아스토
첫째, 투자는 농사꾼의 마음으로 농작물을 키우고 재배하듯 해야한다.
둘째, 불황일 때 싸게 사서 호황일 때 비싸게 팔아라. 이것이 투자의 전부다.
셋째, 자신이 5년, 10년 장기간 응원할 수 있는 것에 투자하라.
댓글
람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