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초심을 잃지 않고 항상 처음과 같은 마음으로
투자하고 싶은 "초로" 입니다
첫 강의는 “주우이”님이 진행해 주셨습니다
현 시장 상황
지금 시기는 2015년과 비슷한 시기 라고 합니다
하지만 우리들의 마음은 항상
좋은 곳은 이미 달아나 버렸구나
대체 어딜 바라봐야할까?
라는 생각을 가지곤 하는데요
이미 올라간 곳은 있지만
아직 오르지 않은 저평가 단지들이
많이 있기에 냉정하게
시장을 바라보며
투자 원칙을 지켜야 할
시기인 것 같습니다
신도시는 어떤 도시일까요?
택지지구, 균질성, 인프라, 교통
이 모든 것이 잘 갖추어져 있는 것이 특징 입니다
경기도라서 수익이 서울보다
낮을 것이라고 생각을
보통 많은 사람들이 하곤 합니다
하지만, 서울 만큼의 입지 독점성이 있는 지역이라면
서울 투자보다 더 좋은 수익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꼭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종잣돈이 부족하다면 어떤 투자를 해야 할까?
종잣돈에 여유가 있다면
수익이 높은 투자가 좋을 것이며
종잣돈에 여유가 없다면
수익률이 높은 투자를 해야
되는 점을 기억해야 할 것입니다
투자 방향성
투자처를 안다고 해서 내가 가진 돈으로
바로 투자할 수 있을 까요?
그렇다면 너무나 좋은 선택이겠지만
그렇게 할 수 없습니다
why
내가 확신을 가지고 있지 못하니까요
그래서 내가 해야할 일은
비교할 수 있는 투자처를 만들기 위해
앞마당을 꾸준히 늘리고
시세트래킹을 해 나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액투자의 가능성
현재 전세가격이 빠르게 상승하는 곳이 있습니다
전세가격이 오르거나
갱신이 많다는 것은 주변 대비 많이 올랐거나
살기 좋으니까 전세가가 상승합니다
이런 시장에서 우린 소액투자를
할 수 있는 기회가 빠르게 다가올 수 있음을
기억해야 합니다
소액투자를 단순히 갭투자라고
생각하는 수준은
일반인이 하는 생각입니다!!
투자자라면
잃지 않는 투자를 위해
전세 레버리지 투자를 꼭 기억해야 될 것입니다
1기 신도시가 생긴 배경
첫 서울시청 기준 20키로 반경에
1기 신도기가 생겼으나
중심이 강남으로 변경되면서
1시 신도시에서도 큰 변화가 있었습니다
각 신도시 별 특징을 기억하여
가성비 지역인 A/B 지역을
투자할 수 있는 시선으로 바라봐야 될 것입니다
A/B 지역의 키워드 / 생활권 순위
두 지역의 키워드와 생활권 순위를
파악하여 우선순위로
가져갈 수 있는 단지를 추려보자!!!
지금까지 매-전 차이에 중점을 뒀다면
주우이님께서 말씀해 주신 방법인
투자금에 맞춰 매매가 선정 후
좋은 생활권 선정
다음 투자금을 바라 볼 수 있는
객관적인 시선으로
투자 기준 방향성을 세워
오류를 줄일 수 있는 방법을
노력해 보자!!!
3년 후 나의 계획
2025년에는 0호기를 매도 후 서울 1호기 투자 계획
예상 투자금에 맞춰 앞마당을 늘리고 꾸준한 시세트래킹
2026년에는 2호기 투자 계획
2호기는 투자금에 맞춰 수도권 or 지방 투자
지방 임장지를 꾸준히 늘려나가자
2027년에는 3호기 투자 계획
3호기 또한 수도권 or 지방 투자
앞마당이 30개 이상 목표!!!
꾸준한 시세트래킹
미래 계획이지만 꼭 실현해 보고자 합니다
댓글
크으~멋진후기까지!! 최고^^ 초로님, 댓글 보시면 문자한통 스윽~주세요 저희조도 내일 아침부터 분당분임이라, 시간맞으면, 모닝커피나 한잔하시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