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보름달입니다.
상반기 내마중 강의를 들었지만
너무 오랜만의 정규강의, 조모임 강의를 하려니
먼가 설레기도 하지만
밀려오는 스케줄에 압박이 되기도 하는데요.
그 와중에 강의는 정말 1순위!!
주우이멘토님 강의는
왜 이시기에 신도시투자에 대해 공부해야하는지
와닿았던 강의였던 것 같습니다.
[평촌vs ??]
제가 택한 지역은 평촌인데,
비교할 지역이 앞마당 중 두 곳 정도 될 것 같은데
신도시라 여겨지지는 않았으나
비교할 지역들을 알 수 있어서
아직도 비교평가가 어려운 저한테는
정말 큰 도움이 되었던 것 같습니다.
또 1강에 나온 지역 중 한 곳은 앞마당,
한 곳은 분임이라도 갔던 곳이라 더 친숙하게
강의에 집중할 수 있었던 것 같습니다.
[공급 리스크 감소?]
또 하나 공급 리스크에 대한 생각을
전환하게 되는 내용이었는데요.
공급이 없는 것만이
좋은 것은 아니라는 사실입니다.
공급이 없어서 전세가가 오르면
매매가도 올라가서
투자를 할 수 없을 정도로
벌어질 확률도 생긴다는 것이었습니다.
시장의 흐름을 정말 면밀히 살펴야 한다는
미시적인 흐름
시세트래킹을 정말 잘 해야함이
여기서도 차이를 낼 수 있겠다는 생각을 했습니다.
[매매/전세 매물 수]
시세트래킹 뿐만 아니라
매매/전세 매물수도 살피며
투자에 적합함을 살펴보는 과정들도
반드시 있어야 함을 배웠습니다.
느려도 꾸준히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항상 강조하시는 멘토님
그게 바로 저입니다.
그 말을 실감하고 있기도 하지만
한편 이렇게 느려도 되나??
반감이 들기도 할 때가 있는데요.
투자 경험이 더 쌓이고
시장의 흐름도 더 쌓이면
거기에서 오는 인사이트도 생기겠지라며
멘토님의 말씀처럼
할 수 있다!!!!를 외쳐봅니다.
[적용할 점]
1. 평촌, 수지, 구성남을 제대로 비교해보기
2. 앞마당 매매/전세 매물 수 지역별로 살피기
3. 투자 가능 단지 뽑았을 때 매물 수 작성하기.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