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5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자의 언어
독서리더, 독서멘토

안녕하세요!
원칙주의자 돈이 달리오입니다.
이번에 제주바다 멘토님의 추천으로 게리 켈러의 원씽을
반 독서모임 책으로 선정하게 되었는데요.
벌써 4번 읽은 책이지만 읽을 때마다 새로운 점을 알게 됩니다.
원씽은 결코 쉬운 책이 아닌, 외려 어려운 책입니다.
그렇지만 원씽을 굉징히 쉽다고 말하는 사람들도 있을 거예요
책 제목처럼 One Thing! Just too simple 이잖아요.
이제 저는 그런 말을 하는 사람은 둘 중 하나라고 생각합니다.
이해력이 정말 너무너무 좋거나 또는 책을 오해하고 있다고요.
이 글에선 책에 대한 제 소감도 나누지만
동시에 원씽이라는 책에 대해 오해할 포인트를 잡아보겠습니다.
원씽의 4가지 의미
원씽이 어려운 이유 중 하나는 원씽에는 4가지 의미가 혼재하기 때문입니다.
적어도 제가 속한 월급쟁이부자들 커뮤니티에선 이렇게 쓰입니다.
4가지의 함의가 있음에도 갈등이 발생하지 않는 건
어쩌면 월부에선 원씽을 필수적으로 읽게 만들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원씽의 의미를 분석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인생을 통틀어 이뤄내고 싶은 하나의 목표
2. 특정 기간에 걸쳐 달성하고 싶은 하나의 결과물
3. 해야하는 일 중 가장 중요한 하나의 일
4. 다른 무엇보다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하나의 영역
1번 뜻의 경우, 우리가 흔히 그냥 원씽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어 저의 원씽은 '행복한 노후를 위해 경제적 자유를 이룬 기버입니다.'
흔히 만다라트표의 정중앙에 적는 것이 그냥 원씽입니다.
원씽의 뜻에서 아주 핵심적이며, 흔히 이정도가 원씽이라 통용되고 있습니다.
2번 뜻의 경우, 우리는 이제 기간 개념을 도입합니다.
예를 들어, 10월의 원씽은 '임장보고서 300장'입니다.
또는 올해의 원씽은 '3호기 투자하기'입니다.
이런 식으로 기간을 정해 놓고, 가장 큰 원씽을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세부 목표 또는 핵심 결과물을 원씽으로 부릅니다.
3번 뜻의 경우, 중요성과 긴급도에 초점을 맞추게 됩니다.
대표적으로 오늘의 원씽 릴레이가 이에 해당합니다.
오늘 해야하는 일 중에 가장 중요하고 가장 시급한 것을 우리는 흔히 또 원씽이라 일컫습니다.
다만, 되도록이면 1번과 2번의 원씽과 이어져야겠죠.
마지막 4번은 우리가 흔히 우선순위를 말하며,
자신의 원씽은 '가족' 또는 '투자'라고 소개하면서 사용됩니다.
이 경우엔 원씽이 특정 행동이나 결과물이 아니라 하나의 영역에 해당합니다.
이처럼 원씽은 하나의 무언가를 지칭하는 게 아니라
말이 쓰이는 상황과 목적에 따라 뜻이 달라지게 됩니다.
그렇다면 원씽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원씽은 오해하기 쉬운 책이다
원씽에선 복잡한 세상을 이기는 단순함의 힘으로
"한 가지에 집중하라"고 말합니다.
굉장히 심플하고 강력한 메세지라고 생각합니다.
우리에겐 그 한 가지가 무엇인지 알아야 하는 과제가 주어집니다.
하지만 그 한 가지는 누가 알려주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답은 스스로의 안에 있기 때문입니다.
원씽에서는 '도미노 이론'을 강조합니다.
성공은 한 번에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작은 성공이 연속적으로 쌓이면서 큰 성취를 만들어냅니다.
즉, 첫 번째 도미노를 쓰러뜨리는 것이 중요하며,
그 첫 번째 도미노는 바로 '원씽'이라고 설명합니다.
아쉽게도 세상에는 한 번 툭 미는 걸로
모든 걸 다 넘어뜨리는 도미노는 없습니다.
그러다보니 우리는 그 원씽을 찾는 과정을
오해하고, 잘못된 방향을 선택하기도 합니다.
왜 이런 일이 생기는 걸까요?
바로 원씽이라는 책은 목표를 관리하는 방법이 아니라
목적의식을 가지는 방향성을 제시하는 책이기 때문입니다.
원씽이라는 책에게 우리에게 요구하는 행동은
'스스로에게 초점탐색 질문을 던지라'는 것입니다.
"나의 인생에서 가장 중요한 단 하나의 일은 무엇인가?"
우리에게 필요한 건 바로 목적의식, 왜 이걸 하는가에 대한 답입니다.
원씽을 실행에 옮기고 탁월한 성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목적의식을 가져야 합니다.
그리고 그러한 목적의식을 행동으로 옮길 때 필요한 우선순위를 세우면 됩니다.
생산성이 높은 사람들은 목적의식과 우선순위에 대한 생각이 분명하고,
또다시 역으로 목적의식과 우선순위는
사람들이 높은 생산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밀어붙입니다.
삶이란 일련의 연속된 선택이며,
우리의 목적의식이 우선순위를 정하고,
우선순위가 행동의 생산성을 결정하기 때문입니다.
원씽과 OKR의 관계
원씽을 효과적으로 우리의 일생에 적용하고 싶다면
OKR을 적극적으로 활용해보는 것이 가장 효과적입니다.
그리고 OKR에 더해 Initiative를 이해하는 것이 좋습니다.
https://blog.naver.com/align_okr/222023039151
OKR과 Initiative에 대한 자세한 건 위 글을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위에서 언급한 원씽의 4가지 의미를 OKR과 연관지어 다시 보겠습니다.
1. 인생을 통틀어 이뤄내고 싶은 하나의 목표 ← Objective
2. 특정 기간에 걸쳐 달성하고 싶은 하나의 결과물 ← Key Results
3. 해야하는 일 중 가장 중요한 하나의 일 ← Initiatives
4. 다른 무엇보다 가장 높은 우선순위를 가지는 하나의 영역 ← OKR을 활용할 분야
결국 원씽을 제대로 이해하고 일상에 적용하기 위해선,
원씽이라는 표현으로 두루뭉술하게 표현하는 걸 넘어서야 합니다.
OKR이라는 목표와 성과관리 방법을 적절히 활용해야 하는 것이죠.
원씽을 쉽고 간단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아마도 원씽을 그저 마인드셋 정도로 생각했지 않을까 싶습니다.
원씽은 삶의 목적을 찾게 해주는 과정이며,
그 과정을 현실적으로 만들기 위해선 치열한 자기탐색과 질문이 수반되어야 합니다.
원씽은 쉽게 읽히지만 결코 쉬운 책이 아닙니다.
하지만 복잡하진 않습니다.
스스로에 맞게 고민하고 삶에 반드시 적용해보는 책이라고 자신있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https://link.coupang.com/a/bWlabg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댓글
재밌게 잘 읽었습니다 감사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