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교평가의 기본 개념 및 원칙
① 가격을 ‘고정’하고 가치를 비교 → 같은 가격이면, 더 좋은 것
② 가치를 ‘고정’하고 가격을 비교 → 비슷한 가치이면 더 싼 것
▶ 1등 뽑기 프로세스
비교평가: 1단계 가치 → 2단계 가격
가치가 있는 단지를 비교평가 해야 한다.
투자금을 먼저 보지 말고 단지의 가격이 저평가 되어 있는지 봐야 한다.
▶ 단지 선호도
선호요소 ( 학군, 환경, 커뮤니티 )
상품성 ( 연식, 브랜드, 대단지 )
입지 ( 위치 그 자체)
단지 가치 + 선호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제대로 임장을 해야 한다.
그래프나 전고점을 보고 단지의 가치나 위상을 파악하려고 하지 마라.
▶ 좋은 순서대로 가격이 비싸서 비교평가가 어려운 경우
정말 도움이 된 부분! ★★★
A단지가 B단지보다 더 좋은 건 알겠어.
근데 좋은 만큼 조금 더 비싸.
B단지가 저평가일까?
아님 선호도 차이에 따라 이 정도 가격차이가 원래 있는 걸까?
→ 과거 그래프를 통해 비교하고 싶은 단지의 매매가 흐름 확인
현자 가격 차이를 확인
BM 포인트
아실 여러 단지 비교는 3개까지만!
거래 내역이 5년 이상 쌓인 단지끼리 비교
흐름이 같은 지역 내 단지끼리 비교
위상이 헷갈릴 때 전고부터 비교하지 않기!
▶ 지방 20평대 괜찮을까?
30평대에 꿀리지 않는 입지 & 선호 요소를 지닌 20평대는 괜찮다
▶ 기회를 놓치지 않는 앞마당 관리 방법
😩
하…
정말 공감이 되는 부분..
혹시 내가 기회를 놓치는 건 아닐까
너무 많은 단지를 트래킹 하려다 보니
자꾸 미루게 되는 현실 ㅠㅠ
마음의 짐이 되어 버렸다
숙제가 아닌 투자를 위한 시세트래킹을 해야 한다!
시세트래킹
30평대 + 20평대 섞어서 10개 이하
생활권 선호 단지
시세스캐닝
월 1회
30평대 / 20평대 각각 필터 걸어서
저평가 된 단지 확인하기
이게 되려면 단지의 위상과 가격을 잘 알고 있어야 한다!
시세그룹핑
게리롱님 양식을 사용하면서도
세로변환 시트를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고 있었다 ㅠㅠ
수도권, 광역시, 중소도시 권역별로 그룹핑 해보기
3억대, 4억대, 5억대 등 가격대 별로 그룹핑 해보기
처음에는 시간이 걸리겠지만
하다보면 빠르게 할 수 있는 날이 온다!
임장하면서 시세그룹핑 활용하기
스스로 문제 내보기
금액대별 5순위 단지 뽑아보기
앞마당 만든 시간이 아깝지 않도록
시세트래킹 열심히 해보자고!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