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직장인이 10억 달성하는 법, 열반스쿨 중급반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열반스쿨 중급반 1강을 수강하였다. 이번 강의에서는 게리롱님이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투자의 원칙과 실전투자 프로세스’를 설명해 주었다. 마지막까지 지방투자 기초반을 들을까 고민하였는데, 이번 강의를 듣고 열반스쿨 중급반을 택하길 잘했다고 또 한 번 생각이 든다. 11월 동안 조금 더 단단한 투자자가 될 수 있을 것 같다.
특히 인상 깊었던 말씀은, 어느 정도 일상의 불균형이 있어야만 투자자로써 한 단계 더 성장 가능한데, 한 가지 주의할 점은 그 균형이 너무 많이 깨지면 안된다는 것이었다. 경제적 자유를 위해서 많은 것을 포기하여야 하겠지만, 그렇다고 모든 걸 포기하진 말자고 다짐하였다.
투자의 원칙 - 저환수원리
- 저평가 : ‘가치가 있는 물건’ 중에서 그 가치 대비 가격이 싼 것 (가격이 싸지만 가치가 없으면 안됨)
☞ 현재 기준은 전고점 대비 -20% 하락이나 이는 바뀔 수 있고, 기본적으로 다음과 같이 비교평가 필요
① 같은 가격인데 더 좋은 게 있나? ② 비슷하게 좋은데 더 싼 게 있나? ③ 비교대상이 많을 수록 유리
- 환금성 : 300세대 이상, 1~3층/탑층 제외는 기본이고, 이에 더해 매도 시점에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것
☞ 강남접근성, 학군 등 입지요소 등을 어느 정도 충족하면 매도 시점에 사람들이 좋아하지 않을까?
- 수익성 : 연평균 수익률 20% + 충분한 수익 (5~6년 보유 시 투자금 대비 2배 수익)
- 원금보존 : 높은 전세가율 (서울 60%, 경기/지방 70%), 원금을 ‘절대’ 지킨다
☞ 전세가가 떨어져 매매가가 떨어지더라도, 가치 있는 단지는 결국 제 가치를 찾아간다
- 리스크 : 감당 가능한 리스크에 투자하고, 대응한다
☞ 리스크를 감당할 수 있고, 향후 기대 수익이 크다면 투자하자. 위기 뒤엔 더 큰 기회가..
기타
- 게리롱님의 ‘저평가 vs 저가치 정리’ 표를 앞으로의 저평가 여부 판단시 활용하자 (내 판단 맞는지 검증용)
- 게리롱님의 시세트래킹 파일을 활용하여, 시세트레킹을 하고 시세그룹핑까지 활용하자
- 복기를 하면 실력이 더 많이 는다. 투자시점 복기 → 투자 마치고 복기 → 연 단위 정기 복기를 꼭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