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으로 1억 모으는 법 - 재테크 기초반
너나위, 광화문금융러, 권유디

1. 나의 돈관리 점수는?
① 내 세전, 세후 소득부터 알아보자
-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 떼어내기
2. 팍팍한 초년생이 조용한 숨은 부자가 되는 과정
① 사회생활 시작하고 처음 6년간 어떤 행동을 했느냐가 몇 십억의 차이를 불러 일으킨다.
② 돈 벌기 시작하고 돈관리는 가족, 사랑, 우정만큼 중요(연 7% 가정하에 10년에 2배씩 불어남)
③많이 번다 -> 덜 쓴다 -> 잘 굴린다.
3. 티끌 모아 태산을 만드는 돈관리 방법(통장최적화)
① 평균적으로 55% 모으면 5-6년 지나 1억이 모인다.
② 1억이 모이면 대한민국 우량자산 취득 가능(서울 아파트의 연평균 상승률은 10% -> 7년에 2배)
③ 수비를 잘하는 팀이 우승을 한다.
- 얼마버는지를 알고 지출 구분을 한다. (원천징수영수증 세전, 세호소득 및 세금 안내)
- 지출 구분별 필요한 금액을 안다. (6개 요소로 지출 구분 싱글 3-4개, 자녀 없음 5개, 자녀 있음 6개)
- 지출 그대로 지키면서 꾸준히 저축한다. (55(저축):45(저축 외))
- 우리나라 현금 10억 순자산 가지고 있는 사람 0.3%
- 아이에게 '제한되어있어'라고 얘기하기 / 아이는 충동적임을 인정하고 본인의 자원에서 선택하는 습관 들이기 /
④ 지출 그대로 지키면서 꾸준히 저출(통장 쪼개기 + 보너스 붓기)
⑤ 체크카드 이을 통장과 아닌 것 확인하기
4. 필수 재테크 상식 5가지
- 베타투자는 always - 7% 10년뒤 2배
- 알파투자는 sometimes- 14% 이상 5년 후 2배
- 투자수익률은 상대적인 개념(시장평균 수익률을 초과하는지가 잘하는지 못하는지의 기준...)
- 시장평균이 아닌 종목 직접 투자가 알파 투자(전문가보다 큰 노력과 희생이 필요)
- 시장 수익률을 추구하고 위험이 적음 ETF기반 포트폴리오, 시장에 묻어가겠다. / 일반인(적은 노력으로 밸런스)
- Active fund : 수수료가 비싸고 펀드매니저가 종목을 고름 / 펀드매니저가 운영
- Index fund: s&p 500등 지수에 따라감
- S&P 500의 연평균 수익률 8.3% / 한국 코스피 연평균 2.1%
5. 갖다 버려야 할 돈 편견 6가지
6. 내게 맞는 투자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