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재테크기초반 3기 재테크금쪽이 2제2별하조-젬마니] 2강 수강후기

  • 24.11.19

돈이 알아서 굴러가는 시스템으로 1억 모으는 법 - 재테크 기초반

[기록하기]

  1. 손실을 줄이는 MTS 활용법

    1).MTS란? : 주식,ETF,채권 등 금융상품 매매를 위한 모바일 버전 플랫폼. 증권사에서 운영

       cf) ETF를 운용하는 주체는 자산운용사(한국투자신탁운용, 삼성자산운용..)

    2).절세계좌

      -연금저축계좌: 노후대비(연금) 목적으로 세제혜택을 받는 장기저축(투자)계좌

                              1800만 한도로 다수 개설 가능.

      -ISA계좌: 절세를 통래 재산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1개만 개설 가능.

      -IRP계좌: 노후대비(연금) 목적으로 근로자가 퇴직시, 이직시 에 받는 퇴직금, 추가 납입금을 

                      투자 운용할 수 있는 계좌

     

    2.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ETF 매매법 

      1.) ETF:  상장된 여러 기업들의 주가 흐름을 하나의 숫자(지수)로 산출하여 투자하는 펀드

                  장점- 분산투자, 정기교체, 저렴한 수수료, 매매가 용이함

                  단점- 내가 모르는 종목에 투자할 수 있음. 투자 수익률이 높지 않음.

           *NAV: 순자산가치. ETF 1주가 보유한 본질적인 가치

           *iNAV: 실시간 순자산가치

              > ETF를 매수 시 매수가격과 iNAV를 비교해서 매수하라!: 0.5% 이하의 차이 정도만 용인할 것!

           *추적오차: 지수와 NAV 움직임의 차이> 추적오차가 0에 가까울수록 잘 운용한다는 것

           *괴리율: NAV와 시장가격의 차이 

       2.) ETF 관련 비용 / etfcheck에서 종목 검색

           *실부담비용률= 총보수(펀드보수)+기타비용(기초지수 사용료 등)+매매 중개 수수료율

           *TER= 총보수+기타비용

            실부담비용률을 잘 따져서 투자할 것(배당금, 분배금 감안하기)> ACE 미국S&P500 추천

       3.) ETF 관련 세금 

     

     국내 주식형 ETF 국내 기타 ETF미국 직투 ETF
    매매차익비과세배당소득세 15.4% 원천징수22%(250만원 비과세)
    분배금배당소득세 15.4%원천징수배당소득세 15.4% 원천징수배당소득세 15.0% 원천징수
    손익통산XXO

     

    3. 절세계좌 활용법

       1) 연금저축계좌: -가입 자격제한 없음/  IRP합산 연간 1800만원 납입한도/ 

                                - 세액공제 16.5%(세전 총급여 5500만원 이하), 13.2%(5500만원 초과)

                                   ; 연간 세액공제 대상 금액 (연금저축600만+IRP300만) > 세액공제액 최대 148.5만원

                                -   중도인출 가능(기타소득세 16.5%)

                                -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은 비과세

             * 세액공제 받은 금액은 자금 중도 인출 시 기타소득세 16.5% 징수

            * 과세제외금액(연금계좌에 납입한 금액 중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을 

               신청연도에 전환하여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다  세액공제 전환 신청

            * 연금저축 담보 대출 : 펀드 평가 금액의 60% 한도 내. 

                                                1년 단위 연장.

            * 연금저축계좌 인출 순서:  1. 과세제외금액(세액 공제받지 않은 원금)- 자유롭게 인출 가능

                                                      2. 세액공제 받은 원금  3. 수익(매매차익)  4. 수익(배당금) - 세금 납부

     

         2) ISA : 개인종합자산관리계좌 :

                     -만 19세 이상 가입자격(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불가, 전 금융사 1개만 가능)

                      - 최소 가입기간 3년 

                        *서민형 ISA-세전 급여 5천만원 이하 근로자, 종합소득 3800만원 이하 사업자

                                         비과세 한도 400만원 (초과시 매도차익의 9.9% 과세)

                        *일반형 ISA- 비과세 한도 200만원 (초과시 매도차익의 9.9% 과세)

                       - 1년에 2천만원 투자한도 증액  가능 (총 1억까지)

                       - 만기자금을 연금계좌로 이체하면 10%(최대 300만원)에 대해 세액공제

     

           3) IRP  : 개인형 퇴직연금

                     - 소득이 있는 자( 근로자, 자영업자, 프리랜서, 직업군인 등..)

                     - 가입기간 5년 이상, 만 55세 이후 10년 이상의 기간에 걸쳐 수령

                     - 납입한도: 연금저축계좌 합산 연1800만원

                     - 안전자산 30% 로 구성해야 함

                     - 연금 수령시 3.3~5.5%, 중도 해지시 16.5% 세금 (세액공제 받지 않은 금액은 비과세)

     

    4. 3년 맞춤형 전략으로 목돈 만들기 : S&P500 ETF

                  S&P500 ETF  : 미국의 우량기업 상위 500개의 주가흐름을 따르는 지수

                                            역사적으로 증명된 장기 우상향

                                           “적립식 매수” 가 투자 성과가 더 좋다.(역사상 70% 의 확률로 성과가 더 높음)

                           

    55의 법칙으로 절세계좌를 활용하여 S&P500 ETF 에 매월 정해진 날짜에 매수하고 , 계속 장기 투자하여  목돈을 만든다. 

    중간에 목돈이 필요할 땐 중도 인출하여 알파투자에 활용한다!!!           

     

      베타투자의 방법으로 절세계좌를 활용한 미국주식 ETF투자에 대한 광화문금융러님의 2주차 강의는 너무나도 유익했다.

    연금저축계좌, ISA,IRP 셋의 개념과 장단점,활용방법을 확실히 알 수 있었고

    연말정산시 세액 공제를 위한 역산으로 계좌별 한도를 정하고 영리하게 투자할 수 있는 최적의 계좌 구성 포트폴리오까지 소득별, 사례별로 알려주셔서 명확한 그림을 그릴 수 있었다.

    또한 단순히 적립하는 것이 아니라, 절세계좌를 활용해서 안정적이고 이자율을 훨씬 상회하는 미국 S&P ETF 에 투자하는 것이 복리의 마법으로 종잣돈을 굴려 줄 것이라는 믿음이 생겼다. 디테일한 주의점까지 그대로 따라하기만 하면 꿈은 이루어질 것이다. 

     

    1주차에서 배운 55의 법칙을 실천하고

    2주차에서 가르쳐주신 절세계좌로 ETF에 투자해야지!! 

    연금저축계좌와  ISA, IRP를 매월 얼마씩 구성해야 할지는 좀더 고민해야겠지만,

    제일 먼저 해야 할 일은 역시 지출통제 & 한달 저축액 확보하기!!!^^

    아무것도 이룬 것은 없지만 미래에 대한 희망만으로도 가슴 벅찬 요즈음이다.  

    주님께 감사*.*

     


댓글


젬마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