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오피스텔 매도 후 10억 자금으로 고민이 있어, 글 남겨 봅니다. 50대 초반으로 이제 슬슬 노후를 준비해야 합니다.
방법 1) 5억 대출로 15억 서울 아파트 구매후 거주하면 이자 부담을 한다. 최소 월 300이상의 이자 부담을 해야하며, 당분간은 이자 부담은 가능하겠지만 노후 현금 자금 저축은 거의 불가능하다는 판단이 됩니다.
방법2) 6~7억 전세 거주하면서 나머지 잔금으로 전세레버리지 (너나위님 강의) 아파트 투자를 한다.
여기서 궁금합니다. 보통 서울 아파트의 경우 매도전 반드시 2년 거주의무가 있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너나위님의 전세레버리지 투자법으로는 거주를 안하고 투자 아파트 매수 후 매도를 어떻게 하나요? 매도를 안하고 계속 소유를 하면서 전세금 올려 받은 자금으로 추가 매수를 하는 방법인지? 강의를 들었는데도 궁금증이 생깁니다.
처음에는 1번 방법으로 아파트 가격 상승을 기대했지만, 공부를 할수록 50대지만 2번 방법을 해볼까 용기를 내봅니다. 많은 조언 부탁드립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행동력이답이다님 안녕하세요 :)
벌써 강의도 들으셨다니 대단하십니다! 먼저 방법 1과 2중에서 어떤 것이 더 나을지는 뭐라 딱 말씀드리기가 어렵습니다. 답이다님의 인생 목표와 현금흐름, 보유자산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에요.
다만 말씀해주신 내용 중 2번 내용에서 서울 아파트의 경우 매도 전 2년 거주의무가 있는가?에 대한 부분은 그런 곳도 있고 아닌 곳도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투기과열지구 혹은 수도권의 분양가상한제 적용 주택 등에서 실거주의무가 적용되고 있습니다.
최근 다시 서비스를 재개한 투자코칭 프로그램을 통해서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조언을 받아봐도 좋을 것 같아요! 항상 응원하겠습니다 :)
[투자코칭 링크]
https://weolbu.com/product?displaySeq=3901&inviteCode=6F9B55
행동력이 답이다님!!
노후를 위해 자산 재배치를 준비하고 계시군요.
1번도, 2번도 장단점이 있습니다.
1번은 실거주의 안정성을 누리면서 추후 집값상승으로 자산을 늘릴 수 있지만
실제 매도를 하기 전에는 수익을 실현하기가 어렵고
걱정하신것과 같이 이자때문에 저축도 힘들어 생활비에 대한 부담이 커집니다.
2번은 전세 레버리지 투자로 자산의 규모를 늘려 전세금 상승분과 매매가 상승분을 통해
현금흐름과 자산을 만들어가는 것인데요.
험블님이 말씀해주셨다시피
모든 서울 아파트가 2년 실거주 의무가 있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2번 투자를 하시려면
투자공부에 쏟을 수 있는 시간과 노력이 1번보다는 더 필요한 것이구요.
추천받으신 투자코칭도 좋고
다음달 서울투자기초반이 열리니까
이 수업을 통해
투자방향을 미리 생각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서울투자기초반
https://weolbu.com/product?displaySeq=36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