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궁금한게 많은 하이2 입니다.
강의를 듣다보면 서울의 경우는 2015년식도 신축이라고 이야기하는거 같고 지방에서는 준신축 인거 같고 애매한거 같아서요.
5년 이내 신축
10년 이내 준식축
10년 이상 구축,,,?
이렇게 생각하면 될까요? 도와주세요 월부 선배님들!
감사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안녕하세요 하이2님~~ 구축, 준신축, 신축의 기준이 궁금하시군요!! :) 맞아요. 저도 처음에 기준이 모호해서 궁금하더라구요. 일반적으로는 2000년 초반까지 구축 2010년 중반까지 준신축 그 이후를 신축으로 볼 수 있지만. 하이2님이 보신 것과 마찬가지로 지역에 따라 조금씩 달라집니다. 대구처럼 최근 입주가 많은 지역은 2018년식만 되어도 신축이라고 하기 조금 애매하고 서울은 2018년식이면 거의 초신축 급이죠. 처음에는 일반적인 기준으로 생각하시고 차츰 지역을 파악해가는 단계가 깊어질 때 지역별로 기준을 조정해가시면 됩니다 :) 오늘도 투자생활 화이팅입니다!!!
안녕하세요 하이2님~~ 강의를 듣다가 지방과 수도권 연식 기준이 다른 것 같아 헷갈리셨군요ㅠ.ㅠ~! 예를 들어, 정말 20년식 이후의 최신축이 많은 어느 지방에선 17, 18년식만 되어도 사람들의 선호에서 외면을 받을 수 있는데, 반면 신축이 귀한 서울수도권에선 17, 18년식 정도면 너무 좋죠?ㅎㅎ 사실 연식은 지역마다 달라서 칼같이 나누기 보다는 한 지역을 임장하고 파악해가면서 부사님들의 이야기에 귀 기울이면 힌트를 얻을 수 있는데요. 예를 들어 '거기? 거기는 10년식이라 이제 구축이라서 사람들이 안 좋아해~' 라는 등의 대화에서 '아~ 여기선 10년식 정도도 구축이라고 하는구나~' 하는 것을 캐치할 수 있습니다. 그것보다 사실 중요한 것은 한 지역을 임장하시면서 그곳의 핵심선호도가 연식일지, 환경일지, 단지컨디션일지, 상권접근성일지, 학군일지 등등.. 임장과 임보를 작성하시면서 살펴보시고 가격과도 연결 지어 생각해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 만약 핵심 선호도가 연식인 생활권이 있다면 그 지역에서 받아 들여지는 신축의 범위, 구축의 범위도 임장하시면서 살펴보시구요 :) 만약 연식이 핵심적인 선호 요소가 아닌 지역의 경우 러프하게 파악만 하고, 깊게 안 파보셔도 됩니다. 더 중요한 교통, 학군 등 다른 선호 요소에 집중해보셔요 :) 그럼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