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투자역량을 쌓고 싶은 하이2입니다.
최근에 커뮤니티에 올라온 글을 보고 궁금증이 생겼는데요.
경기도와 서울 (4급지)의 경우 경기도권이 강남과 접근성이 더 좋다면 경기도쪽이 위치가 좋다고 할수있을까요? (비슷한 금액일때요ㅎㅎ), 물론 종합적으로 선택을 해야겠지만 보통 성북구와 같은 서울 4급지와 경기도 용인 수지를 예로 생각하면 강남접근성을 용인수지가 좋은데 이런경우는 어떤 것이 더 좋다고 할 수 있을까요?? (도와주세요! 선배님들!)
https://weolbu.com/community/2951976/%EC%84%9C%EC%9A%B8-%EC%88%98%EB%8F%84%EA%B6%8C-%ED%88%AC%EC%9E%90%ED%95%A0-%EB%95%8C-%EB%B0%98%EB%93%9C%EC%8B%9C-%EC%95%8C%EC%95%84%EC%95%BC-%ED%95%A0-1%EA%B0%80%EC%A7%80-%EB%88%84%EA%B5%B0%EA%B0%80%EB%8A%94-3%EC%96%B5%EC%9D%84-%EB%8D%94-%EB%B2%88-%EC%9D%B4%EC%9C%A0-%EB%B2%84%EB%A6%B0%EB%8F%8C
감사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하이2님 안녕하세요 :) 서울과 경기도를 비교할 때 수지처럼 강남 접근성이 좋은 지역은 어떻게 비교해야 할지 많이 어려우실텐데요. 저 역시도 그 부분에서 고민을 참 많이 해서 공감이 됩니다 ㅠㅠ 일단 가장 먼저, 어떤 단지를 비교하는지에 따라 가장 다를 수 있어요. (성북구의 정릉과 수지의 풍덕천 역세권 단지를 비교한다면? 성북구의 길음과 수지의 죽전을 비교한다면?) 또한 이렇게 헷갈릴 경우에 1차적으로는 보통 지도에서 거리재기 기능을 이용해 1)강남 접근성 2)한강 접근성을 기준으로 생각해보셔도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화이팅이에요!
안녕하세요! 강남접근성에 따른 단지가치비교가 고민이시군요! 우선 단지마다 다르지만 강남접근성 외에 강남과의 물리적거리도 반드시 고려해봐야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한강과의 물리적거리도 강남 포함 타 업무지구 접근성과 연관이되니 같이 비교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하이2님 안녕하세요 : ) 성북구와 수지의 위상의 비교에 대해서 질문 주셨네요 ㅎㅎ 수지구가 강남 접근성이 좋은편이기는 하지만 서울 내의 다른 업무지구인 여의도나 도심 업무지구 접근이 어려운 것이 단점입니다. 반면 성북구는 도심업무지구 접근이 아주 용이하고 여의도 강남도 커버 가능한 수준이고요! 따라서 수지구와 성북구를 퉁쳐서 어디가 좋다고 비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기에 생활권과 단지별로 비교해보시면 좋겠습니다! 도움이 되었기를 바랍니다. 투자 공부 화이팅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