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노후를 위해 마르지 않는 샘물 만들기 프로젝트!
샘물샘물샘물입니다.
수도권 지역 분석 끝판왕!
제주바다님의 2강을 들으며 새롭게 배운 것
앞으로 새겨 들어야 할 내용 위주로 후기를 써봅니다.
“비역세권도 충분히 투자 가능하다”
수도권은 교통 입지가 중요한 것을 누구나 압니다.
그러나 이것이 절대 법칙이 될 순 없는 법!
다른 입지 요소들이 불편한 교통을 상쇄할 수도 있고
비역세권이지만 직주근접이 우수하여
자차나 버스로도 출퇴근이 불편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역세권이 정말 중요한 것은 맞지만, 맹신하지 말 것
단순히 역세권, 비역세권만 따지지 않고
업무지구와의 물리적 거리를 고려하여
실제로 그 지역에 거주민의 입장에서 이해하려 노력할 것
마찬가지로 학군에서도!
단순히 중학교 학업성취도만 보고 평가하지 말고
초등학교는? 임대 단지? 주택단지와 함께 묶이지 않는가?
주변에 비선호 요소가 있진 않나? 안전한 가?
학군 역시도 실제 거주민의 입장에서 이해하려 노력할 것
BM.
단지분석에서 교통 입지 분석할 때
자차, 버스로도 접근 용이한 지 확인할 것
학군 입지 분석할 때
배정 초등학교 학생수도 확인할 것
“일반고에서 실적을 낸다는 것의 의미”
중학교 때 공부 잘하는 친구들은 특목고/자사고 → 서울대
이런 순서를 밟을 거라고 이해하고 있었는데
무려 일반고에서 서울대를 많이 보낸다는 것은?
그 지역이 엄청난 학군지라는 것을 의미한다!
엄청난 학군지라는 의미는 초중고까지
오랫동안 거주할 수요가 있다는 의미!
즉, 안정적이고 풍부한 선호를 의미합니다.
내가 임장 중인 지역이 학군이 유독 좋다면
일반고의 실적까지 정리하는 것이
수요를 파악하는데 중요할 수 있음을 깨달습니다.
BM.
학군이 유명한 지역일수록
임보작성 시 고등학교 분석도 해보기
“대형평형, 임대단지 비율을 확인하라”
흔히들 ‘균질하다’, ‘비균질하다’를 생활권의 환경과 연결지어 말합니다.
물론 부가적으로 상권, 공원(녹지), 택지 등등도 있겠지만
아파트만 두고 보았을 때는 보통 그런 것 같습니다.
그래서 노후빌라주택이 많다면 균질하지 않고
선호되지 않는다고 하고요.
그렇다면 모든 입지가 동일한 두 생활권이 있고
두 생활권 모두 아파트로 균질한 생활권이라면
이 두 생활권은 위상이 같다고 볼 수 있을까요?
여기서 더 깊이 들어가기! 바로 대형평형, 임대단지 비율입니다.
아파트가 균질하더라도 소형평형 위주 단지가 많다면
그 생활권은 뭔가 복잡하고 오밀조밀한 느낌이 들 수 있을 것이고
대형평형 위주 단지가 많다면
넓고 쾌적한 단지들이 모여 안락한 느낌을 줄 것입니다.
임대 단지가 많다면
그 지역의 소비력이 약하거나 교육 환경이 떨어질 수 있지만
임대 단지가 거의 없고
그 지역의 집값을 받아줄 수 있는 비슷한 사람들이
모여있다면 그 소비력에 걸맞는 상권과
아이들의 교육 환경이 갖춰질 것입니다.
BM.
생활권을 파악할 때
임대 단지는 어디에 있는지
빌라주거지역과 밀집한지 확인할 것
이상 2강에서 듣고 배운 것 중
머리를 탁하고 쳤던 내용에 대한 후기를 작성해 봅니다.
3강도 기대됩니다. 이번 주도 힘내 보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