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돈버는 독서모임 -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 (24.12)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돈, 뜨겁게 사랑하고 차갑게 다루어라
저자 및 출판사 : 앙드레 코스톨라니, 미래의창 출판사
읽은 날짜 : 2024. 11. 28 - 2024. 12. 13.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돈 #투자 #증권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10
1. 저자 및 도서 소개
: 앙드레 코스톨라니 - 1906년 헝가리에서 출생. 철학과 미술사를 전공했지만, 피아니스트가 꿈이었음. 1920년대 후반 18세에 파리로 유학, 증권투자를 시작하여 독일 증권시장의 우상으로 군림하게 됨. “인생을 즐기십시오.”라는 말을 일생동안 지켰음. 이 책은 93세 때인 1999년 2월부터 쓰기 시작하여 9월에 탈고하였고, 9월 13일 책의 서문을 쓰지 못한 채 파리에서 영면함.
2. 내용 및 줄거리
:1) 돈의 매력 - 돈과 도덕 / 자유세계의 가치 척도 / 백만장자가 되려면 / 올바른 태도 / 단기간에 백만장자 되기 / 투자는 과학이 아닌 예술이다 / 나는 증권투자자이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2) 증권 동물원 - 투기 / 투자 / 중개인 / 머니매니저 / 금융자본가 / 차익거래 / 단기투자자 / 장기투자자 / 순종투자자
3) 투자, 무엇으로 할 것인가? - 기회와 리스크 / 채권 / 외환 / 원자재 / 유가물 / 부동산 / 주식(진정한 투자대상)
4) 증권거래소-시장경제의 신경 체계
5) 주가를 움직이는 것들 - 주식시장의 논리 / 공급과 수요의 원칙
6)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 투자트렌드의 배경음악 / 평화 / 경제발전
7) 중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 - 돈+심리=트렌드 / 경기 / 인플레이션 / 디플레이션 / 중앙은행 / 채권 / 외화 / 대중의 심리
8) 증권심리학 - 부화뇌동vs소신파 / 돈 / 생각 / 인내 / 행운 / 코스톨라니의 달걀 / 붐과 주가 폭락 / 17세기의 튤립 투기 사건 / 수학천재 / 1929년 주식 대폭락의 본질 / 현재의 경제순환과 반대로 하는 것 / 명확한 주관 / 강세장vs 약세장
9) 정보의 정글 - 투자자의 도구 / 페따 꼼쁠리 현상 / 정보사회 / 투자 조언, 추천, 소문들 / 증권거래소의 거물들 / 내부 정보
10) 어떤 주식을 선택할 것인가 - 주식시장에서 주식 거래로! / 성장 산업 / 적정한 가격 / 턴어라운드 주식 / 의미없는 표현들 / 챠트: 수익은 얻을 수도 있는 것이고 손실은 피할 수 없는 것이다
11) 머니매니저 - 남의 돈으로 하는 투자 / 투자펀드 /헤지펀드 / 투자 컨설턴트 / 자산관리사: 머니매니저 중의 재단사
12) 모험을 하려는 사람들에게 - 손해도 모험의 일부다 / 시간의 문제가 아니다 / 유명세에는 대가가 따른다 / 증권과 사랑, 그리고 증권에 대한 사랑 / 10가지 권고사항 / 10가지 금기사항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돈, 자본주의, 투자, 증권 - 지금까지 거의 관심을 갖지 못했던 분야의 대가의 생각을 들음으로써, 나의 생각을 넓히는 밑바탕이 되며, 나아가 행동지침으로 삼을 수 있는 원칙을 세울 수 있게 해줄 것 같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주식이든 부동산이든 대중의 심리가 얼마나 크게 작용하는지를 새삼 알게 되었다. 나 이외의 다른 사람들은 무엇을 좋아하고 무엇을 두려워하는지, 세상에 대한 관심을 더 가지고 살아야겠다는 생각이 든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000 (전자책인 경우 전자책이라고 작성 부탁드립니다😊)
:p161 상상력은 지식보다 중요하다 - 투자자의 상상력이라고 표현하였지만, 상상력이라기 보다는 통찰력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자신만의 생각을 가지고 다른 사람들이 하기 어려운 투자 결정을 할 수 있으려면, 단순한 상상력 만으로는 어려운 일인 것 같다. 과감하게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상상력은 어떻게 키울 수 있을까.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연관 분야의 책들은 잘 모르지만 ‘돈의 심리학’ 을 읽어보고 싶다.
댓글
도래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