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강 식빵파파님 강의는 비교평가에 대한 체계를 잡는 유익한 시간이었다. 이번 실전반 임보에서 비교평가시 꼭 반영해야겠다.
수도권은 같은 급지끼리 비교한다. (비싼 vs 비싼, 싼 vs 싼)
[지역내 비교평가]
땅 가치가 높은 지역에서는 어차피 강남접근성(교통)이 비슷하기 때문에 환경&학군의 가치가 높음. 반면, 땅 가치가 낮은 지역에서는 강남접근성 편차가 크므로 교통이 환경&학군보다 중요함. -> 즉, 비교평가 시 땅의 가치에 따라 환경&학군의 비중을 다르게 고려한다!
지역별 특징: 1)여기 사는 사람들은 거주 결정 시 어떤 요인을 중요하게 생각? 2)접근 가능한 업무지구 3)몇 호선이 지나가는지
비교평가 검증 시 전고점을 확인하는데, 만약 전고점이 내 생각과 다르다면?
1)주변 비슷한 가치의 단지 전고점, 2)전세가격(실사용가치) 확인
결국은 단지 vs 단지 비교이다. 단임, 매임을 통해 특징과 선호요소를 파악한다.
단임: 단지 주변 상권, 환경, 도로, 학교
매임: 거주자 수준, 커뮤니티
[지역간 비교평가]
[투자의사결정과정]
댓글
운빨인생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