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가성비 인테리어 하는 법

  • 22.09.14



소개

- 임대용 인테리어 경험 20회 이상

- 7년 차 지방 워킹맘 투자자

- 순자산 30억

- 월급쟁이부자들 유튜브 MC

 

 

 

Q. 코크님은 인테리어 전문가로 월부 안에서도 소문이 자자합니다. (강사분들도 코크님 인테리어 따라 한다는 이야기도 들었어요...!) 코크님은 인테리어 업체 어떻게 찾으세요? 싸고 잘하면서 신뢰까지(쓰리콤보!) 가는 업체는 어떻게 찾으면 될까요? (블로그? 유튜브? 집 근처? 맘카페?)

 

실거주 인테리어냐, 임대용 인테리어냐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실거주 인테리어의 인테리어 컨셉은 거주민의 개인적 성향에 초점을 맞춰 정하게 됩니다. 그래서, 본인이 하고자 하는 스타일, 컨셉에 맞는 업체를 찾아야 하는데, 블로그나 맘카페는 실거주 인테리어가 메인으로 다양한 스타일을 찾아볼 수 있어서 이를 활용하는 게 좋습니다. 


하지만, 임대용 인테리어는 내가 직접 거주하는 게 아니다 보니, 개인적인 취향보다는 대중적이면서 유행을 타지 않는 심플하고 모던한 컨셉으로 시공하게 됩니다. 관리, 유지가 용이하면서, 수리비도 적정 예산안에 책정을 해야하는데요. 그러다 보니, 가격은 싸면서 일정 수준의 결과물이 나올 수 있는 가성비와 일정 기간 안에 수리를 마무리 할 수 있는게 중요합니다. 블로그나 맘카페의 경우, 앞서 말씀드린 것 처럼 실거주 인테리어가 주를 이루다 보니, 인테리어 컨셉, 자재 등의 기준이 임대용과는 다르게 접근합니다. 유명 업체들의 경우, 일정을 맞추기도 쉽지 않고, 가격적인 부분도 맞지 않아 임대용 인테리어는 오프라인으로 직접 알아보는게 좋습니다.  


우선, 집을 매수한 부동산에 추천을 받습니다. 중개를 하다보면 많은 분들이 부동산 사장님께 인테리어 업체 문의들을 하십니다. 그렇다보니, 부동산입장에서도 소개했을 때 부정적 피드백이 나오지 않는 어느정도 시공능력이나 as관련해서 검증된 업체를 소개시켜주게 됩니다. 하지만, 간혹 인테리어 업체에서 부동산 사장님께 소개비를 주는 경우가 있다보니, 가격적인 부분은 꼭 다른 업체들과 비교를 해야합니다.


단지 내 상가에 있는 인테리어 업체에서도 꼭 견적을 받아야 하는데요. 아파트 자체별로 공사 시 유의해야 할 부분들이 있는데, 단지내 업체는 해당단지의 공사경험이 많기 때문에 어떤 부분에 유의해서 공사를 해야하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상담 시 이런 부분을 잘 기록해 두어야 추후 다른 업체와 작업을 하더라도 주의해서 공사를 할 수 있습니다.


단지 내 상가뿐만 아니라, 주변 단지에 있는 인테리어 업체들로 확대해 가면서 견적을 받습니다. 이왕이면 해당 지역 내 업체여야 간단한 AS나 하자보수를 받기가 수월합니다. 

 

 

 


1번견적이미지.jpg

 

 

 

가장 성공확률이 높은 건 지인 추천입니다. 실제 그 지역이나 단지 물건을 수리한 경험이 있는 지인이 있다면 함께 작업했던 업체를 소개받는 게 가장 좋습니다. 이미 한 번 동료분과 작업을 하면서 컨셉에 대한 이해가 돼 있으니 소통하기도 수월하기 때문인데요. 견적이나 마감 상태도 지인을 통해 미리 확인할 수 있어 실패 확률이 가장 낮습니다.하지만, 지인 추천이 어려운 경우에는 ‘부동산소개- 단지 내 업체-지역 내 업체’순으로 전화상담과 방문 상담을 통해 견적을 받아야 합니다. 


그렇게 최소 10개 업체에 견적을 받아봅니다. 최대한 많은 업체에서 견적을 받아 비교해봐야 가격도 싸면서 상담을 통해 사장님의 대응스타일을 확인하며 가장 잘 맞는 업체를 찾을 수 있습니다.

 

 

 

Q. 인테리어 업체들을 골랐다면, 이제 선정할 차례입니다. 

어떤 기준으로 업체를 선정하면 될까요?


여러업체에 견적을 받아보면, 동일 시공방법, 자재이더라도 가격차이가 많이 납니다. 그중 가장 비싸거나, 싼 업체는 제외를 시키고, 예산 범위 안에 들어오는 업체들 중에서는 사장님을 중요하게 보는데요. 


긍정적이고 유연하게 받아들이는 분, 의견 차이가 있더라도 조율해 나갈 수 있는 소통이 잘 될 수 있는 분을 우선순위로 둡니다. 또한, 진행 중인 작업 현장을 방문해서 마감은 꼼꼼하게 하는지, 주로 어떤 마감재를 쓰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추가로, 인테리어 업체 사장님이 현장을 감리하는 것 외 직접 시공을 할 수 있는 공정이 있는지도 확인하는데요. 현장감리만 하게 되면 본인의 수익금을 공정별로 추가하게 되면서 공정원가+내수익이 더해져 견적이 더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목공, 타일, 조명 등 직접 하는 작업이 있다면 시공비를 받기 때문에 추가로 수익을 덧붙히는 게 없거나 적어서 타 업체 대비 견적이 싸게 나올 수 있습니다. 실제로 동일 조건의 공사임에도 견적 차이는 업체에 따라 500만 원~1000만 원씩 차이가 납니다. 


적정한 가격도 중요하지만, 전 과정을 처음부터 마무리까지 원할하게 진행할 수 있는 사장님과 한 팀이 되는 게 중요합니다. 그래서 사장님의 소통 능력, 직접 시공하는 분야 여부, 다른 작업 현장의 마감 상태를 업체 선정시 중요하게 봅니다.


 


Q. 보통 아파트 평수 별로 인테리어 얼마 정도 들까요?

너무 비싸게는 하기 싫고, 또 너무 싸면 의심스러운 게 인테리어 같아요…:(


내 집의 상태, 공사 범위, 시공 방법, 자재에 따라 차이가 많이 납니다. 임대용의 경우, 구조 변경 없이 공사 시공 방법과 자재를 표준화 시켜서 진행을 하게 되는데요.


-25평 (계단식 구조,방3,욕실1) 샷시(kcc기준) 850만 원~, 

전체공사 1200만원~ 

전체공사 (도배(광폭합지), 장판(1.8t), 욕실덧방, 페인트, 조명, 가구 (pet, 씽크대, 인조대리석 상판, 슬라이드후드, 신발장, 창고장), 타일, 폐기물 등)


 

 


3번 30평대 공사후사진2.jpg

 

30평대 아파트 인테리어 공사 진행 후 사진

 

 

-33평 (계단식 구조,방3,욕실2) 샷시 950만원~, 

전체공사 1600만원~


현재 원자재 상승 등으로 인테리어 비용이 상당히 많이 올랐습니다. 주택가격이 비싼 지역은 업체 유지비(임대료)가 더 들다 보니, 견적이 더 비싸게 나오기도 합니다. 업체에 따라 수익 비율을 높게 잡거나, 업체 사장님이 현장 감리만 하는 경우도 견적이 높게 나옵니다. 그래서, 많은 업체에 견적을 받고 비교해보셔야 합니다. 

 

 

 

 

100만 원으로 1,000만 원 효과내는 

가성비 인테리어 공식

 

 

 


코크님 CTA.png

 

 

 

 

 

  • 코크드림님_갤러리뷰01.jpg

    다운로드
  • 다운로드

댓글


부답
24. 09. 14. 15:51

임대용 안테리어는 대중취향에 맞게, 업체 선정은 지인추천, 부동산추천, 단지내상가, 지역상가, 긍정적인 업체로 선정, 좋은 의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