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원어비 입니다.
열반기초반 핵심질의응답 라이브 강의를 통해 들은 것, 깨달은 것, 적용할 것을 정리해봅니다.
1주택자의 투자 방법
종잣돈 모으기, 갈아타기, 자산재배치 3가지가 있다.
이 중 난 종잣돈 모아서 투자하기를 택했고 2호기를 매수했다. 조급하게 자산재배치에 대해서도 고민을 했었는데 아직까지 그만큼의 실력도 없을 뿐더러 자산재배치로 얻을 수 있는 투자금도 너무 적다는 사실을 다시금 깨달았다. 종잣돈을 모으며 다음 투자를 이어나가야 겠다.
비교 평가 방법 및 순서
[방법]
비슷한 가격, 평형, 연식을 맞춰서 비교해보는 것이 좀더 쉬운 방법이다.
[순서]
매매가로만 저평가를 우선 확인
> 전세가율, 전고점대비하락률, 매전차이 확인
투자를 진행하려면 비교 평가가 필수이고 2달전부터 비슷한 가격대에서 더 좋은 단지를 찾아내는 연습을 하고 있다. 임장보고서를 작성할 때마다 시세전수조사를 해서 비교 평가를 하는 습관을 만들어야 겠다.
부동산의 세금
세금의 종류를 알고 전략적으로 세금 혜택을 챙겨야만 한다.
내 자산 공시지가 총합 9억 이상이 될 때부터 자산을 취득해나가는 데 집중해야 겠다. 또한, 이미 2주택이기 때문에 3주택 취득 시 취득세를 고려해서 내가 생각하는 수익률 기준을 정해봐야 깄다. 그리고 양도세를 절감할 수 있는 중개비, 법무사비용 등 영수증을 잘 챙겨두어야 겠다!
저환수원리에서 “리스크 관리”의 의미
단순히 공급 물량만 확인하는 것이 아니다.
주변 동일평형 전세 갯수와 가격, 점유자의 성향, 2년 뒤 전세 만기 시 유동성을 준비할 수 있느냐를 확인해 봐야 한다는 걸 한 눈에 정리해주셨다.
다음 임보의 투자 결론 작성 시 주변 동일평형 전세 갯수 및 가격을 추가로 반영해보려고 한다.
전세가율 vs 전고점
지금 시기에 전세가율과 전고점 중 어떤 걸 더 중요하게 보는 게 맞을까에 대한 의문이 있었다. 이번 핵심 질의 응답에서 현재 시기는 전고점을 더 중점적으로 보는 것이 맞는 것이며 이에 대한 이유를 설명해주셔서 명쾌했다.
지금 상황에서는 전세가율보다는 전고점을 보고 저평가의 가치를 찾아봐야 겠다!
계획을 세우는 방법
내가 할 수 있는 120%를 목표로 잡고 계획을 세워야 겠다는 다짐, 임장을 습관으로 만들기 위해 1달에 임장 가는 횟수를 조금씩 늘려가야 겠다는 것을 깨달았다.
조금씩 목표를 상향하여 임장 습관을 만들기 위해 계획하고 실행하겠다😆
3시간이 넘는 질의응답시간이 정말 꿈 같이 빠르게 지나갔다. 나의 질문에 대한 답변도 들을 수 있어서 행복했고 몰랐거나 애매해서 스스로 결론내지 못했던 부분에 대해 “이렇게 하세요!”라는 가이드 라인을 받을 수 있어서 정말 유익한 시간이었어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