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브룩입니다
^^
4강에서는 식빵파파 튜터님께서
비교평가에 대한방법과 궁금증들을
아주 시원~하게해결해주는 강의였습니다.
최임을 작성하기 전 강의를 들었다면
얼마나 좋았을까 하는 아쉬움이 들지만
실수에서 배우는 법이니
이번 4강을 통해 배운비교평가를
다음 임보에 반드시 적용할 것을 다짐다짐 해봅니다
(이제서야) 비교평가를 어떻게 하는 것인지 알게 됐다
앞마당이 늘어나고
나름 비교평가라는 것을 할 때
매번 풀리지 않는 의문점들이 있었습니다.
급지/평형/연식/지역
급지도 알고
평형도 알고
연식도 알고
지역도 아는데..
이걸 단지로 가져오면
여러가지 팩트를 연결해서
가치를 파악하는 일에서
애를 많이 먹었습니다.
열심히 분석해 놓고
결론은 항상 가치보다는
가격이나 그래프에 의존하여 1등 뽑기를 해왔던 것 같습니다.
강의를 들은 후
입지 평가에 더하여
각 단지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의 가치를 파악하는
'급지를 넘어서는 혹은 강남접근성을 넘어서는
학군/환경/단지 선호도 요소를 가지고 있는가?'
‘나라면 어디를 선택하지?’
라는 이 두가지 질문을 통해서
제대로 비표평가하는 방법을 배웠습니다
수없이 들었던
‘비교평가 할 때에는 단지대단지로 봐야한다’라는 말을
이해하는 순간이었습니다.
그리고
투자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가격을 먼저 보는 것이 아니라
가치를 먼저 파악하고 나서
마지막 단계인 결정단계에서 가격을 붙여서
내가 할 수 있는 투자 범위에서
‘가장 좋은것’에 투자하겠습니다!
[BM]
단지별로!!
‘나라면 어디를 선택할까?’ 관점으로 비교평가하기
비표평가 후 검증을 통해 올바른 의사결정이었는지 확인하기!!
시세트레킹후 남겨야 하는 것은?
나름 시세트레킹을 잘 해오고 있다고 생각했습니다.
'매 달 한번씩 가격이라도 확인하는게 어디야…'라고
스스로 위안을 삼긴 했지만
항상 아쉬운게 있었습니다.
바로
'내 생각 적기'
강의를 통해서
앞마당을 비교평가의 관점에서 관리하고
앞마당 시세흐름을 나름대로 분석해보고
싸다고 생각하는 단지를 찾아보고
또 그 안에서
비교평가하는 법에 대해서 배웠습니다.
시세트레킹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지역의 분위기와
기회의 흐름을 파악하겠습니다.
[BM]
시세트레킹 후 내 생각 적기/싸다고 생각하는 단지 적기
군별로 시세트레킹하기
적기에
가려운 곳 긁어주시듯
비표평가와 최종1등뽑기에 대한
궁금증 해결해주신
식빵파파 튜터님
감사합니다!
🤩
댓글
브룩0316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