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주우이, 너바나, 자음과모음

안녕하세요 갱지지입니다 :)
현 정부의 부동산 정책은
3주택부터 8%의 취득세를 내고있습니다
취득세 8%를 내면서까지
투자를 해야할까요?
실제로 고민이 되어
월부닷컴에 문의를 올렸습니다
https://weolbu.com/community/3519
감사하게도 젊은우리 튜터님의
답변을 받을 수 있었는데요🖤
취득세를 낸 만큼 양도차익에서 감면해준다
취득세 중과의 이점
양도세를 적게낸다
실제로 계산해보면서
취득세의 벽을 넘어보겠습니다
월부 3년차 A씨는
투자 3호기를 찾고있습니다
열심히 매물을 보다가 만난
저평가 된 물건
매매가 3억
전세가 2.7억
매매-전세 3000만원
+
취득세 2,400만원
(취득세 8%=3억X8%)
총 5400만원의 투자금이 들었습니다
월부 1년차 B씨는
1년안에 1호기라는 사명감을 갖고
열심히 물건을 찾고있습니다
저평가라는 확신은 없지만
감당가능하고,
기준에 맞는 투자물건
매매가 3억
전세가 2.5억
매매-전세 5000만원
+
취득세 330만원
(취득세 1.1%=3억X1.1%)
총 5500만원의 투자금이 들었습니다
2년 후 1억의 시세차익으로
매도를 한다 가정하면
실제 수익은 어떻게 될까요?
3호기인 A씨는
1,300만의 양도세를
1호기인 B씨는
1,900만원의 양도세를 내게됩니다
A씨와 B씨
600만원의 양도세 차이
왜 생겼을까요?
이 차이는
2023년 양도소득세
과세 기준표에 있습니다
아까 튜터님의 답변 기억나실까요?
1억이라는 양도차익을 본 투자물건
취득세8%를 낸 A씨는
8,600만원의 수익
(1억-2400만원)
취득세 1.1%를 낸 B씨
9,670만원의 수익
(1억-330만원)
두 사람의 양도세율이 다릅니다
취득세를 중과로 낸 A씨는
적게 낸 B씨보다
낮은 세율의 구간으로
양도세를 낼 수 있었습니다
양도세 감면의 효과는 알겠지만
남들보다 2,000만원의
돈을 더 내며 투자한다는 것에 대한
두려움은 반드시 존재합니다
더해서
추가된 첼린지
총알은 적은데
명중은 더 많이 해야하는상황
더 저평가인 투자처를 찾기위해
투자 실력을 키워야하고
더 투자금을 줄이기위한
협상실력을 키워야하며
세금을 더 내면서도
투자를 이어나가는
할 수 있는 영역에서 노력이 필요해보입니다
앞선 멘토, 튜터님
선배님들도
취득세의 벽은 만나게되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자를 이어나가고계십니다
싱글이라 더욱 취득세의 벽이 높긴하지만
같이 화이팅해요!
다주택자로 가는 길
모든 분들을 응원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