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집 사도 되나요? 인구가 준다는데요? 집값은 떨어지나요? 도대체 언제 사야 하죠? 이런 분들을 위해 내집마련을 7단계로 나누어보았습니다. 하나씩 하나씩 클리어 하면 내 집 마련이 딱 되어 있도록! 내가 살 수 있는 제일 적합한 집을 찾는 방법 알려드리겠습니다.
1. 내집마련 체크리스트
(1) 가격 기준을 먼저 정해야 합니다. ‘나는 이거 6억 아래로 나오면 무조건 산다.’ 부동산 사장님에게도 말씀드리면 더 좋겠죠!
(2) 가격에 맞는 집을 수시로 찾습니다.
(3) 소득 수준에 맞는지 점검합니다.
그래도 많은 분들은 질문합니다.“그래서 살까요, 말까요?“
이건 본인 소득과 소비, 저축, 종잣돈 상황에 따라 달라집니다. 만약 한 달에 300만 원 벌고 200만 원을 쓰고 있는데 돈이 1억밖에 없다? 그렇다면 6억 집이 아무리 좋은 집이라고 해도 위험해질 수 있습니다. 하지만 한 달에 700만 원을 벌고 300만 원을 쓰고 있는데 종잣돈이 4억 가량 있다면 사라고 할 수도 있는 거죠.
근데 저라면, 안 살 것 같아요. 같은 돈으로 살 수 있는 다른 집을 더 찾아봐야 후회를 덜할 수 있으니까요. 내 집 마련을 잘 하는 것은 방법의 문제가 아닌 사고 방식의 문제입니다. 내집마련을 잘 하고 나아가서 자본주의 사회 안에서 잘 살아남는 방법이 있습니다. 월급받는 직장인이 부자 되는 현실 과정 6단계를 알려드릴게요.
2. 월급받는 직장인이 부자 되는 현실 과정 6단계
(1) 변화를 싫어하는 게으른 나 자신을 인정하기
사람들은 내가 익숙한 범위 내에서만 움직이려 합니다.
(2) 변화하는 특별한 사람이 되겠다고 결심하기
변화를 원한다면 ‘나는 변화를 싫어하는 게으른 사람이구나’ 라고 인정하고 변화하는 사람이 되겠다고 결심을 해야 합니다. 변화하는 삶은 정말 어렵지만, 인정하고 결심하는 순간 바뀔 수 있습니다.
(3) 변화할 수 있는 상황을 연구하기
이후 결심에 맞는 행동과 상황을 연구해야 합니다. 미라클 모닝, 독서 등 열심히 사는 사람들은 많지만, 방향을 명확하게 잡지 않으면 계속 자기 범위 안에서만 쳇바퀴처럼 돌게 됩니다. 이게 월급쟁이부자들을 만든 이유이기도 합니다.
(4) 변화할 수 있는 상황으로 이동하기 (특별한 경험)
평소 일상을 살면서 주변 사람들과 재테크나 내집마련에 대해 적극적으로 이야기할 수 있는 기회는 많지 않습니다. 그러나 월급쟁이부자들이라는 곳은 다 여기에 관심 있는 분들이 모이는 곳이다 보니 내 사고와 행동이 변화할 수 있어요. 그래서 이걸 특별한 경험이라고 하는 거죠. 저도 처음에 직장-집만 반복하는 직장인이었어요. 그런데 월급쟁이부자들에 처음 들어갔을 때 “부동산 거기 가봤어요.“ “저축할 때는 이렇게 하세요.“ “어디를 사서 월세를 놓으세요“ 등 부동산 이야기가 오가는 걸 보면서 새로운 세상이 있다는 걸 알았습니다. 지금 생각해보면, 그 낯설고 특별한 경험이 첫 시작이었던 것 같아요.
(5) 지속하기
모두 한 번 해보고 “우와!“ 합니다. 하지만 지속하지 않아요. 왜 그럴까요? 용기 내어 헬스장에 갔다고 칩시다. 아무도 어떻게 운동하는지 알려주지 않으면 나는 그냥 런닝머신만 타다 가게 되기 때문입니다. 그러다 보면 낙동강 오리알처럼 되면서 하고 싶지 않아집니다. 그래서 조 편성, 온라인 모임, 오프라인 모임을 만들며 내 성향에 맞게 최대한 월부 환경을 100% 활용할 수 있게끔 도와드리고 있습니다.
(6) 마침내 얻어내기
대부분 1단계, 변화를 싫어하는 게으른 나 자신을 인정하는 것부터 어려워하십니다. 구체적인 방법이 궁금하다면, 저 너나위가 진행하는 '내집마련반' 한번 들어보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저는 그래서 다 알려드리거든요. 자본주의 시대에서 부동산 내집마련에 성공하기 위해선 어떤 행동을 해야 하는지 To do list로 알려드립니다. 10만 원, 100만 원 드는 일도 아니고 억 단위로 움직이는 부동산 내집마련. 내 상황별로 지금 집을 사도 되는지, 어떤 집을 사면 되는지, 어떻게 준비하면 되는지 이제 더 이상 고민하지 마세요.
(출처: 월급쟁이부자들TV '"부동산 집값 1억이나 올랐다" 직장인이 놓치지 말아야 할 '1가지' 알려드립니다.')
댓글
월부Editor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