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 강의 리마인드
지방 각 지역에서 어떤 가격대면 진짜 싼 건지 감을 잡을 수 있었다.
어디를 우선적으로 볼 지 리마인드 해볼 수 있었다.
#. 내가 할 수 있는 것 중에 좋은 거.
좋은 것과 내가 투자 할 수 있는 걸 동일시 하는 순간,
대체 어디에 투자하라는 건가? 라는 생각이 들 것이다.
아무리 좋아도 내가 감당 못하면 투자할 수 없는 거다.
내가 할 수 있는 곳 중에 젤 좋은 곳이 A이면 투자하는 거다.
#. 입지분석. 결국 사람들이 어딜 살고 싶어하는지 아는 것.
인구수 얼마나 되는지 아는 게 중요한 게 아니다. 왜 거기 많이 사는지 알아야 하는 거다.
일자리, 학군, 환경 등 사람들이 살고자 하는 이유가 각 동네마다 있는 거다.
환경. 어떤 상권을 엄마들이 좋아하는지. 단순히 마트 몇개 백화점 몇개 파악하고 끝내는 게 아니다.
단, 정량적인 입지순서와 선호도순서는 다를 수 있다.
투자는 딱딱 떨어지는 게 아니다.
#. 공급
입주시기 3개월 전 시점과 겹치지 않게 잔금날짜 꼭 조율하기.
핵심 공급 지역의 전세가 얼마나 정리되는지 트래킹하면서 기회를 본다.
분양물량, 분양실적 보면서 잠재적 공급과 시장분위기를 파악한다.
#. 투자자는 퉁쳐서 보는 게 아니다. 쪼개서 본다.
20평대신축 vs 30평대 구축. 이건 퉁쳐서 판단해보려는 거다.
지역마다 다르고 단지마다 다르다.
이래서 결국엔 단지 대 단지라는 얘기를 하나보다.
#. 비교평가는 입지/선호도 먼저 제대로 세워야 할 수 있는 거다.
어디가 더 좋은지 명확하지도 않으면서
가격 붙여 보면서 비교하려고 하는게
얼마나 조급한 행동이었나.
그러니 비교가 당연히 어려울 수밖에 없다.
입지/선호도 대비 싼지 비싼지 보는 게 비교평가인데
입지/선호도 의 우위를 모르면
당연히 비교가 안되는 거다!
생활권별로, 단지별로 어디를 더 선호하는지
먼저 보자. 가격 보기 전에.
댓글
하이써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