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투자 기초반 1주차 강의 후기 [달성이]

지방투자 기초반 - 소액으로 돈 되는 지방 1등 아파트 찾는 법

무려 3번째 수강하는 지방투자 기초반 (25년 1월) 1주차 강의 후기

작년 2월 지투기 조모임을 시작으로 벌써 3번째 지투기와 인연을 맺고 있습니다.

지방 투자를 목표로 지금까지 계속 정진하고 있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이번 지투기 수강은 그동안 만들어 놓은 앞마당 중 알고 있는 지역을 다시 한 번 월부 강사님을 통해 복습하고 재검토하면서 목표로 하는 1호기 투자가 현재 내가 가진 앞마당 중 최선이 맞는지 점검하는 목적이 있었습니다.

 

그 와중에 놓쳤던 인사이트는 없는지 다시 복기하고, 좀 더 효율적으로 앞으로 나아가는 투자자가 되고자 합니다.

 

이번 지투기는 지난 번과 동일하게 지방 광역시 3개 지역의 분석과 지방 투자에 대한 공부입니다.

1주차 게리롱 님의 강의를 통해 다시 한 번 재정립한 투자 기준은 다음과 같았습니다.

 

  1. 지방투자도 경제적 자유로 가는 과정이고, 지방에서도 돈을 벌 수 있다는 확신을 다시 한 번 얻었고 공급량에 정직하게 반응하는 부분을 전세가와 연결지어 활용해야겠다. 공급에 따라 투자처의 우선순위를 정해야겠다.
  2. 지방 소액 투자로 2배 버는 투자를 해야겠다. 그리고 서울로 가고, 최종적으로 경제적 자유까지 가는 목표.
  3. 현재의 지방은 하락 싸이클의 끝자락이자 상승 싸이클의 전환시기로 볼 수 있다. 그러니까 기회니까 해야겠다.
  4. 지방은 수요가 있는 중소도시와 광역시로 구분할 수 있는데, 광역시 경우 직장과 학군에 기반한 땅의 가치와 상품성 (연식, 택지, 신도시 느낌) 사이에서 무엇이 더 좋은 지를 잘 고려해야겠다. 잘 모르겠다면 내 상황에 더 맞는 투자처를 고르는 것이 답안이 아닐까?
  5. 스타벅스 분포를 잘 활용해보자. 나보다 더 머리 좋은 사람들이 다 생각해서 그곳에 매장을 차렸다.
  6. 생활권별 랜드마크 혹은 주요 단지 가격들의 비교를 통해, 저평가 여부를 판단해보자.
  7. 그래도 지방은 더 좋아질 환경 요소를 가진 생활권을 알아두는 것도 중요하겠다.
  8. 그래도 지방이니까 1억 이상 보다는 1억 이내로 투자할 수 있는 단지를 찾아보는 것이 맞겠다. 전세가율도 높은.
  9. 입지 좋은 구축과 입지 떨어지는 신축을 잘 비교해서 투자해야겠다. 구축과 가까운 곳의 신축과 비교했을 때 더 비싸면 그곳은 입지가 좋겠다.
  10. 그래도 지방이니까 주변에 초중고를 다 갖추고 대규모 택지로 구성되면 역과 멀어도 언덕이어도 사람들이 선호할 수 있겠다.

 

이렇게 투자 기준을 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이제까지 해온 것 처럼 멈추지 않고 포기하지 않고 계속 꾸준하게 하는 것이 정말 중요함을 다시 한 번 마지막 시간에 느꼈습니다. 그리고 그 결과를 만드는 것도 또한 중요하기에, 이번에는 꼭 심어볼 수 있도록 몸소 행동해보겠습니다.


댓글


함께하는가치user-level-chip
25. 01. 13. 23:52

달성이님 강의수강 고생많으셨습니다 :) 완강까지 화이팅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