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칼럼

‘이 정책’을 유심히 보세요. 집 살 타이밍입니다!

  • 23.11.17

지금 집을 사야 하나, 지켜봐야 하나 고민 중인 분들 있으시죠.

그런데 이 고민은 20년 전이든 10년 전이든 있었을 겁니다.

쉽게 결정하기 어려운 내 집 마련 타이밍, 객관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힌트를 알려드릴게요.

오늘 부지런히 부동산 관련 지식을 전해주고 계시는 부룡님과 함께 했습니다!


✅집 살 타이밍, ‘이것’을 보면 알 수 있다고?

서울이 되고 싶은 경기도, 집값 오를까?





Q. 부동산 정책과 집값은 서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정책에 따라서 집 살 타이밍인지 아닌지 판단하면 좋다고 하던데요.


예를 들어볼게요. 2022년 중반 시점에 이미 시장 같은 경우는 굉장히 안 좋아져 있을 때잖아요. 시장이 안 좋아져 있고 거래가 잘 안 되고 또 거래량이 급격히 빠져서 예전과 달리 뭐 거래량이 거의 뭐 IMF 금융위기 수준이다 이런 말이 나올 때예요. 그러면 정부 입장에서는 어떤 생각을 할까요?


집값 올라가지 말라고 막 규제를 했는데 예상과 달리 너무 심각해요. 그러면 완화를 할까요? 강화를 할까요? 완화를 선택하겠지요. 그니까 직전 상황이 안 좋았기 때문에 완화 정책을 펼칩니다. 신혼 부부들이나 생애 최초에 해당하는 사람들이 혜택 볼 수 있는 정책이 다음에 나온 거죠.




많은 분들이 정책을 보면서 ‘oo정책이 n월 n일에 발표됐는데, 이게 시장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라고 질문을 하시거든요. 근데 그게 바로 영향을 미치는 경우는 없어요. 정책 하나가 시장을 만드는 게 아니라 정책이 하나씩 쌓여가면서 먼저 나뭇가지 올려놓고, 성냥 갖다 놓고, 그 다음에 불을 쬐면 그때 따뜻해진다는 겁니다. 단편적으로 볼 게 아니고. 정책의 유기성을 좀 아셔야 해요.






Q. 그럼 지금 정부가 ‘신생아 특례 대출’로 대출을 27조 푼다고 하는데요. 이건 ‘여러분, 집 좀 사세요~’라는 말로 해석할 수 있을까요?



저는 두 가지 측면에서 봐야 된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첫 번째로는 좀 어떻게 들리실지 모르겠는데, 젊은 분들을 대상으로하는 정책은 약간 박탈감이 있는 시기에 항상 만들어져요. 집값이 비싼 상황이라서 항상 박탈 심리가 되게 커질 때. 왜냐면 이 분들이 앞으로 다음 세대 거든요. 다음 세대인 있는 사람들이 집을 사게 하지 않으면 이게 안 돌아간다고 생각하는 게 정부 입장인 거 같아요. 그래서 그분들을 위해서 만든 게 특례보금자리론인데, 이게 지금 사라졌잖아요.


이게 사라지면, 젊은 층을 상대로 해서 뭔가 해 줄 수 있는 게 다 사라져 버리는 상황이 되지요. 또 나오는 정책이 바로 신생아 특례 대출인 것 같아요. 항상 이 시기에는 젊은 분들을 위한 대책이 한 번도 빠지지 않고 나왔던 거로 기억을 해요.


두 번째로 제가 재밌는 느낌이 뭐냐면 최대 5억 대출이잖아요. 저는 이 금액을 보면, 정책에 타겟이 있다라고 좀 느낌이 와요. 지금 현재 서울 아파트가 기본적으로 10억이 넘는 상황이 돼버렸죠? 근데 우리 신생아 특공으로 받을 수 있는 돈이 최대 5억이라는 거잖아요. 그럼 내 돈 5억을 들어야 되는 거거든요. 내 돈 5억이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그렇다면 결국에는 이분들이 가야 될 곳들은 서울의 소형이나 수도권 외곽으로 갈 수밖에 없거든요. 지금 현재 서울의 집값들이 올라갔고 나머지 지역들이 올라갔다고 말하기 되게 애매한 상황이에요. 어떻게보면 수도권 집값이 떨어지지 않도록 받쳐주는 역할을 하는 의도로 저 금액을 말한 게 아닐까 싶어요.


이런 정부의 대책들이 항상 가격 하방을 받쳐주면서 가격 하락을 비탄력적 만들어 주는 그런 모습들이 계속 이어져 왔었거든요. 그러니까 여러분들께서는 충분히 이것들을 노려서 나름대로 본인이 거주하고, 출퇴근하기 괜찮은 지역들을 사시면 굉장히 좋을 것 같아요. 그리고 그렇게 되면 나중에 지켜보세요. 옆에는 분명히 또 전세가도 올라가고 그러면서 또 사람들이 들어오는 상황이 만들어질 테니까요. 내 집 마련을 하고 싶은 분들, 정책의 흐름을 면밀하게 파악을 해서 무엇이 내 삶에 도움이 될지 파악하시면 좋겠습니다.







Q. 요즘 김포를 서울에 편입하겠다는 얘기가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이거 현실 가능성 있나요?


가능 여부를 떠나서 상당히 뜬금없다고 생각 했었어요. 서울이 되는 순간 가격이 오르기는 할 거예요. 되게 웃긴 게 등본을 뗐을 때 서울이냐 경기도냐를 가지고 굉장히 사람들의 행동 패턴이 달라지더라고요. 저는 현재로서는 약간 총선용이라서 안 될 가능성이 높다라고 보긴 하지만 된다면야 뭐 당연히 그만큼의 영향을 미치게 되겠죠. 현실화가 된다면 김포 뿐만 아니라 뭐 다른 수도권에 굉장히 또 근접한 지역들 있잖아요. 뭐 하남 고양 부천 광명 과천 구리까지 아 너도나도 좀 얘기가 나오고 있는 상황인데 어떻게 보면 부동산 시장에 있어서는 큰 폭탄 같은 그런 이슈가 되지 않을까.



김포가 서울이 되는 순간 기준점이 생길 거예요. ‘강서구가 얼만데 김포은 얼마야’라고 하면서 그 가격들을 강서구의 기준점을 놓고 이것들을 올리려고 하는 모습들이 만들어질 거예요. 김포 입장에선 서울의 인프라를 그대로 흡수하면서 좋아지지 않겠느냐 이런 생각을 하실 수가 있겠죠. 그럼 이제 김포도 집값이 오른다면, 여기서부터 오를 거예요. 서울의 인접한 순서대로 하나씩 오를 겁니다. 서울 근접 지역부터 퍼져 나가는 현상들이 발생을 할 거는 자명하다, 불보듯 뻔하다라는 그런 상황이죠. 그런데 가능성이 있는진 모르겠습니다.





.

.

.







<오늘의 한 줄 요약>


내 집 마련을 하고 싶은 분들, 정책의 흐름을 면밀하게 파악을 해서 무엇이 내 삶에 도움이 될지 파악하시면 좋겠습니다.




<무주택자가 놓치면 안 될 신호, 최적의 타이밍 읽는 법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아래 링크 꾸욱~>




댓글


케익교환권creator badge
23. 11. 20. 12:22

신생아 특례대출과 같은 정책흐름 파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