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Late starter 조지아킴입니다.
올해 5월 임보 특강 온라인 강의로 처음 접한 게리롱 튜터님
장~발 미남이시라 인상이 선명하게 남았었는데
이번 지기 강의에서는 깔끔한 헤어스타일로 등장 하셨더군요 ㅎ
이 전에 여러 튜터님들이 "임장보고서 많이 써본 사람들은 임장보고서 장 수를 줄여 나가세요"라고 하셨을때
지금은 아니지만 나중에 내가 임보력이 올라갔을 때 버리고 남겨야 하는 기준이 이해가 안갔는데...
이번 강의를 통해서 어떤 방식으로 기준을 잡아야 할지 인사이트를 얻은 것 같습니다.
C지역 지역분석과 투자기준, 효과적인 임장 방법에 대해서 많은 내용과 데이터들의 나열 보다
반드시 남기고, 적용해야 하는 '핵심' 내용들에 대해 이해하기 쉬운 언어로 전달하는 게리롱님 이번 강의와
같은 선상에서 접근하면 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Key word
공무원, 3선 입지, 뱀머리
소액 투자를 위해서 '지금' 꼭 알아야 하는 C지역
매매/전세 가격도 공무원 급여처럼 큰 변동 없이 꾸준한 상승을 보이고 있어 보수적인 나의 첫 투자로 적합할 것 같은 생각이 들었고
전세물량이 없어서 투자금액 최소화 가능하고, 향후 공급 리스크도 거의 없다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여행으로도 안 가본 도시. C지역 자체의 인구, 일자리만 보고 다른 중소도시 대비 수요가 부족할 것이라 생각했는데
주변에 인구 10만 이하의 소도시들로 둘러싸여 C지역에 인프라가 집중되어 있어
광역시급의 수요를 끌어 낼 수 있는...용꼬리보다 뱀머리 느낌의 도시 인것 같습니다.
C지역에서 입지 x 연식(신축/준신축/구축)별 투자 기준과 투자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각각의 특징을 이해하고 나한테 적합한 투자가 가능하면 어떤 것도 해도 좋은 투자가 될 수 있다는 것과
무엇보다 최선의 투자를 선택해서 경험해보는 게 중요하는 것을 되새길수 있었습니다.
부족한 투자금으로 고민하는 구축, 20평대, 하급지 생활권 투자에 대해서
기본적인 투자기준과 함께 C지역의 현재 상황을 고려해서 바로 적용 가능한 구체적인 가이드를 주셔서
바로 C지역 가서 투자하고 싶은 마음이 들 정도 였습니다. (물론 서두르지 않고 공부 먼저 하겠습니다 ^^)
BM
. 감사일기 다시 시작 한다
. 임장 전에 인구 & 세대당인구수를 지도위에 올려서 확인 한다
. 단임은 현장에서만 확인할 수 있는 바뀔 수 없는 조건들에 집중,
매임은 집 안에서만 확인 가능한 것에 집중 한다
" 월간 게리롱이 20권이 넘어서자
저는 언제든 3천만원으로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 있었습니다.
뭐를 잘하고 투자자로서 통찰력이 늘고 뭔가 기술이 생기고 하는게 아니고
그냥 아는게 많아져서, 보이는 지역이 많아져서...그게 다였습니다 "
강의 마지막 부분 튜터님 얘기 기억하고
꾸준히 달려 보겠습니다. 고맙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