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지투23기 우2ㅣ5늘부터 낙만투자자 EB] 2강 강의후기

  • 25.01.20

 

안녕하세요, 성장중독자 EB입니다.

이번 2강에서는 잔쟈니 튜터님께서 진행하신 매수부터 매도까지의 프로세스에 대해 배울 수 있었습니다.

그동안 대부분의 기초반 강의에서는 가치가 더 좋은 것을 보는 방법이나 의사결정 프로세스 까지만을 다뤘는데, 그 이후의 내용이 모두 담겨있어 좋았습니다.

투자자로써 인풋을 어느정도 들이면 매수관점에서만 봤을 때, 잃지 않는 투자를 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는데, 이보다 더 긴 시간이 걸리고, 중요한 건 어떻게 보유하고, 매도하는지 일 거 같은데 이 뒷부분에 대한 미래가 막연했던 것 같습니다. 솔직히 아직도 강의 내용을 모두 다 이해한 것은 아니지만, 그래도 보유와 매도의 단계란 저런거구나~ 싶고, 나중에 그 단계에 가게되었을 때 강의안을 다시보면 저게 저런 뜻이구나 하지 않을까 생각이 듭니다. 앞에서의 매수, 전세등을 겪고, 보유, 매도도 경험을 쌓으면서 튜터님의 말들을 떠올리고 하는 일련의 과정들을 반복하다보면 투자자로써의 돈그릇을 조금은 더 크게 빚지 않을까 싶습니다.


각 단계별로 새로 깨달았던 내용 혹은 추후에 필요하다면 활용할 내용에 대해서 간단히 정리하려고 합니다.

  1. 매수
    1. 전세를 못 맞춰서 잔금을 치른다면, 정책대출/은행대출/보험사대출 이 있고, 이 각각의 대출의 종류, 한도, 장단점을 내 상황에 대입시켜서 가장 최선인 것을 하자.
    2. 가계약에 모든 것을 정해둬야한다. 특히 특약 몰라도 여기 있는거 싸그리 다 갖다 넣고 생각하자.
  2. 전세
    1. 전세광고는 시기별로 할 것들을 미리 체크해놓고, 문자는 앞쪽에 가격/날짜/상태 + 장점 어필의 내용으로 구성하자. 뒤에는 집 보는 방법 넣기
    2. 전세 시세는 생활권 내 단지 선호도에 따라 나열되기에, 선호도에 따른 전세가격들을 다 조사하고, (해당 단지 내에서는 RR, 층, 향까지 고려하기) 적정 전세가 세팅하기. (내 물건이 선호도 중이면 상,하 단지의 전세가를 상대적으로 정할 수 있으니까)
    3. 보고 간 손님들 체크+ 인근 단지들 실시간 전세 트래킹( → 전세시세 트래킹 하기)
    4. 전세자금대출 구조 - 임차인 신용/채권양도/질권설정 체크하기
    5. 전세 특약 협의시 임차인 특약 동의 여부를 확인하고 (임차인에게 전달되었는지 확인되어야함) 계약금의 일부 입금
  3. 보유
    1. 집의 수선, 유지 → 누수, 각종 고장등 수리사항 발생 → 나중에 매매,전세를 놓을 때 집을 잘 보여줄 정도로 임차인과 관계가 좋아지는 방향일까?
    2. 역전세 → 감당 불가한 경우, 감당 가능한데 비싸지만 수익구간이라면 매도한다!, 누적 전세보증금 10%는 대출을하던 현금으로만 하던 가용가능한 금액을 의미함.
      1. 전세가가 10년전 전세가로 떨어졌다면, 이 이후의 리스크가 있을까?를 생각해보자. 싸고 리스크가 적은건 지킨다!
  4. 매도
    1. 매도 방향성
      1. 수익 났을 때 → 수익 나기 전엔 손절X , 기준을 갖자.
      2. 더 좋은 자산으로 갈아 탈 수 있을 때 → 확실히 여기보다 더 좋다고 생각되는 지역, 단지가 있어야한다. => 꾸준히 더 좋은 곳의 앞마당도 함께 만들어가자
      3. 리스크를 감당하기 어려울 때

인상 깊은 말

  • 효율<효과 : 빨리하는 것보다 중요한 건 제대로 하는 것임을 알고 어떻게 하면 제대로 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것
  • 선불: 인생의 많은 성취에는 노력이 먼저 있어야 함.
  • 반복

 

마지막 장표를 보면서 “나는 빨리하려는 것에 너무 치우친게 아닐까?”, “지금의 나보다 더 실력이 좋을 미래의 나를 위한 방향으로 투자를 고민해봐야하는게 아닐까?” 라는 생각을 하면서 자신을 좀 돌아볼 수 있는 시간까지 마련해주신 잔쟈니 튜터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당


댓글


EB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