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약 문자의 효력] 가계약 문자에서 명시한 계약 일정과 다른 일정으로 계약이 진행될 경우 가계약 문자의 효력이 문제 없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재테크 Q&A에서 늘 많은 도움주셔서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방금 전세(제가 임대인) 가계약 문자를 주고 받고, 동의 문자 확인하고,

 

가계약금까지 제 계좌에 들어온 것까지 확인을 마쳤는데

 

가계약 문구 중에 이런 문구가 있었습니다.

 

“**계약일 : 협의(가계약 후 일주일이내)”

 

저는 오늘이 1.21(화)이고 다음주에 설명절이고 해서

 

“가계약 후 일주일 이내이면 이번주 목~금(1.23~1.24) 정도에 계약을 하겠구나”

 

생각하고 있었다가,

 

혹시나 해서 부동산 사장님께 다시 물어보니 설 연휴 있으니까 설 지나고 계약하면 된다는 겁니다..

 

임차인쪽 부동산이 따로 있어서 그쪽 사장님이 그렇게 말했다면서..

 

그래서 일단 알겠다고는 했는데ㅜㅜ

 

이런 상황일 경우 제가 궁금한 것은

 

 

질문 1) 가계약 문자에 명시된 날짜에 계약을 하지 않고 연기하여 계약을 한 경우 기존 가계약의 효력에 문제가 없을까요?

 

질문 2) 만약 위의 문제로 인해 가계약의 효력이 없어진다고 할 경우, 이미 가계약금을 받은 상태에서 다시 가계약 문자(실제 계약일을 명시하거나 계약일 기한 없이 “협의”로만 명시)를 주고 받아도 문제가 없을까요?

 

질문3) 아니면 가계약 문자대로 어떻게든 일주일 이내에 계약해야 한다고, 아님 배상하셔야 한다고 주장해야 할까요??

 

아니면 다른 좋은 방안이 있을지 궁금합니다! 늘 도움주시는 월부와 월부인 감사합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젊은우리user-level-chip
25. 01. 22. 12:40

BEST | 배워야지 역사를님 안녕하세요^^ 전세계약 진행중에 계시는군요! 임차인 구하기 어려운 시기에 축하드립니다 위에서 좋은 답변들 많이 해주셨는데요~ 질문해주신 것들을 통합해서 답변드리면, 기간에 대한 것은 "서로 협의"만 된다면 아직 계약서를 쓰기 전 "가계약 상태"이기 때문에 수정가능합니다!! 설 연휴를 놓치시고 계약일정을 잡으려고 하신 것 같은데 정말 별거 아닌 경우이며 배워야지 역사를님이 설 연휴 기간에만 반드시 계약을 써야되는 사정이 있는 경우가 아니라면 이미 가계약금을 받아놓으신 입장이기 때문에 아쉬울게 없습니다~ 설 연휴 가족분들과 행복한 시간 보내시고 설 연휴 이후에 배워야지 역사를님이 가능한 날짜랑 시간대를 몇개 정리해서 부사님께 임차인도 가능한 날을 고르실 수 있도록 문자로 알려드리세요^^ 즐거운 설 연휴 보내세요♡

유르user-level-chip
25. 01. 22. 03:14

안녕하세요~ 전세를 맞추신 상황이신 것 맞으실까요? 너무 고생 많으셨습니다- 가계약 문자로도 본계약의 효력을 지닌다는 기존 판례들이 있더라구요. 계약이 해지될만한 위중한 사례가 아니라면 계약일자는 좀 더 조율해보실 수 있지 않을까 싶은데, 다른 조건은 협의 되셨고(금액, 이사일 등) 계약일자만 미정인 상황이시라면 사장님과 소통 하셔서 설 명절 이전에 계약이 어려운 이유를 좀 더 파악해보면 어떠세요? "명절 전에 계약을 마무리했으면 해서요"와 같이 말씀도 나눠볼 수 있을 것 같고요 전세 계약 원만히 마무리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버린돌user-level-chip
25. 01. 22. 09:47

배워야지 역사를님 안녕하세요~ 혹시 잘 해결되셨을까요? 이런 경우 조금 당황스러우셨겠어요 ㅠㅠ 1. 가계약의 효력 자체는 사라지지는 않습니다. 이미 돈을 주고 받았기 때문입니다. 다만, 내용을 수정할 필요가 있겠지요~ 2. 가계약은 말 그대로 가계약이라서, 수정 문구가 필요하면 서로 문자로 주고받고 ‘동의합니다’라는 메세지를 주고 받으시면 됩니다. 문서로 남기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우선 가계약에 적힌대로 1주일 이내로 계약하자고 말씀을 나눠보시고, 어렵다고 하시면 계약일자를 바꾸는 내용으로 협의를 진행해보세요~ 부동산 사장님께 먼저 얘기하시고, 임차인과 얘기해보시면 됩니다. 어찌됐든 계약문구에 일주일 이내라고 적혀있기 때문에, 그렇게 하는 방향이 가장 좋아 보여요~ 아무쪼록 잘 해결되시길 바라겠습니다. 화이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