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광화문금융러님 미국주식 강의 수강 후 아래와 같이 몇가지 문의 사항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 성장주는 미래를 위한 투자 연구를 많이 해야하는데 금리가 낮으면 은행에서 대출 받아 연구 개발 비용 및 공장
증설 등에 투자가 가능하기에 주가가 상승하고, 금리가 높아졌을 땐 대출 받아 투자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주가가
하락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제가 잘 못 이해하고 있으면 설명 부탁드려요~~
2. 두번째는 채권 발행에 관련된 내용입니다.
아래와 같은 상황에서 채권 발행의 정확한 의미가 궁금합니다.
수업 내용 중 국가에 금융 위기가 왔을 때 해당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시장에 돈을 푸는데 그 방법 중 하나로
채권을 많이 발행한다고 하는데 채권을 발행한다는 것이 정확히 무슨 의미인지 설명 부탁드릴게요.
3. 표준편차란 무엇인가? 변동성과 같은 의미로 받아들리면될까요?
- 표준변차가 크면 변동성이 크다. 표준변차가 작으면 변동성이 작다.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4. 연금저축계좌로 EFT를 계속 매수하면 될까요?
5. ISA 계좌로 테슬라 등 개별 종목을 매수해도 되는걸까요?
6. IRP 계좌는 어떻게 포트폴리오를 짜야할지 감이 안 와요ㅠㅠ
세금혜택 받기위해 매달 30만원씩 IRP계좌로 이체하고 있는데 아직 주식 매수는 못 하고 있습니다.
광화문금융러님이 추전하는 포트폴리오가 있을까요?
질문이 많아 죄송합니다. 수업 들으며 궁금증이 생긴 부분이라 부득이하게 문의드립니다.
미리 감사합니다.
댓글
안녕하세요 케빈님 !!
제가 이해한 내용을 바탕으로 설명드리겠습니다!
1. 성장주와 금리 변동성의 관계 :
-> 말씀하신 내용이 맞습니다.
성장주같은 경우는 미래의 가치를 높게 평가하여 투자자들이 투자하는 것입니다.
즉 성장주 기업은 성장 기대치보다 높은 성장을 하여야 주가가 상승하는데 금리가 높을 시 대출을 받는데 어려워 성장이 어려울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채권이란?
-> 채권에 대해서는 저도 잘 아는 건 아니지만 제가 이해한 내용으로는 부채 증서입니다. 나라/기업이 채권을 발행 -> 누군가 채권 구매
채권을 많이 푼다는 것은 부채증서를 많이 풀어 돈을 모을려고 하는 것입니다.
Ex) 국가에 돈이 없음 -> 채권 무수히 발행 -> 채권 투자자들의 구매 -> 일정기간 이자를 주며 돈을 모으는 형식
기사에 자주 나오는 채권 : 미국채 10년물/50년물
3. 표준편차란?
-> 말씀하신 것처럼 표준편차는 주가의 변동성으로 이해하면 쉽습니다.
표준편차가 높은 기업 -> 주가의 변동성이 높은 기업이구나~
표준편차를 보실 때 샤프지수를 같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샤프지수란 ? : 위험대비 성과 (표준편차가 높은 것이 위험이 높다)
4~6 연금저축/ISA/IRP :
-> ISA 계좌는 아쉽게도 미국 개별주 (직투)를 할 수 없습니다.
보통 저는 ISA/연금저축으로 한국에서 발행한 미국 ETF(S&P500)를 적립식 매수를 하고 있습니다.
최근 광화문 금융러님/월부 Editor님의 좋은 칼럼/Youtube가 있으니 보시는 것이 좋아 보여 링크 공유드립니다~~
- "트럼프가 대놓고 찍어줬다" 앞으로 4년 딱 '이 주식'만 사모으시면 됩니다.
(https://weolbu.com/community/2281300?utm_source=creato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creator_share_button)
- 미국 주식? 이미 너무 올랐는데 더 오를까? “모르면 수익률 10% 손해보는 초보자 질문” 전문가가 대답해드립니다
(https://weolbu.com/community/2287426?utm_source=creato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creator_share_button)
케빈 오님 에디터는 주린이지만.. 열심히 하시는 케빈오님의 열정이 느껴집니다.. 화이팅입니다!!
헐 나 채권 거꾸로 이해하고 있었네.. 덕분에 알아갑니다 케빈오님. 첫댓도 상세히 답변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