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느낀점🙏🏻
1-1. 중소도시의 배후 수요 파악하기
- 인구 50만 이상의 중소도시는 각기 의미 있는 수요가 있음을 이해. 입지 5요소로 절대적인 가치가 높지 않더라도, 인근 주변 도시보다 상대적으로 높으면 수요 흡수 가능함,
1-2. 원도심 > 그외 중심지 > 외곽으로 뻗는 발전방향
- 지방은 입지독점성이 낮기 때문에, 외곽 빈땅에 신규택지가 들어섬. 원도심은 재개발이 진행될 단계이며, 그외 중심지는 오래 전 들어선 환경/인프라 입지가 괜찮으나 구축 중심. 도넛모양으로 인구는 원도심이 낮음.
1-3. 어디에 살고 싶어할지 파악하는 방법
- 세대당 인구, 연령별 인구를 통해 알아내는 방법. 단순 가성비 있는 지역을 걸러내기.
1-4. 철저한 계획으로 임장의 효율 극대화
- 임장이란, 사전 임보를 쓰는 과정에서 예측했던 지역의 모습이 실제 얼마나 맞는지 확인하는 과정. 7~80% 맞으면 좋음.
1-5. 당장 3천만원으로 투자하는 방법
- 묵묵히 앞마당을 늘려나가면 기회는 보인다. 조급해 말어라.
2.bm 🏃🏻♀️
- 배후수요를 파악해보기. 절대적인 게 아닌, 주변 인근 도시 상대적으로 좋은지.
- 입지가 떨어지는 지역의 1개 있는 신축도 가치가 있음. 신축의 희소성. 그 자체로 의미.
- 매물임장은 대인관계가 들어가는 것. 이거 제출하고 부동산 사장님한테 연락해야겠음.
- 20평대는 입지 1등의 준신축 이상, 브랜드아파트면 고려해보자.
- 환경은 신축+대단지(택지)이며, 연식과 다르게 볼 수 있다.
- 주변에 좋은 게 있냐보다, 안좋은 게 없는 게 더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