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지방투자 기초반 - 내 종잣돈 2배 불리는 소액 지방투자 방법
월부멘토, 권유디, 잔쟈니, 자음과모음

1.느낀점
1-1. 중소도시에 대해 제대로 이해한다. 확연한 입지가 있는지, 연식에 따라 선호도가 달라지는지.
1-2. 교통의 발달이 직접적인 호재가 아니더라도, 일자리가 증가하도록 영향을 줄 수 있다.
1-3. 투자기회를 적극적으로 만들 것. 크게 네고하는 배짱을 가지자.
1-4. 투자에 100%는 없다. 저평가 되었고, 리스크 테이킹 가능하면 투자하자.
1-5. 미쳤다는 말을 들어야 성공한다는 것을 알고 있지만, 또 그 수준으로까지 다른 걸 돌보지 않으면서 몰입하고 싶지 않았다. 주변 사람들과 환경을 설득하는, 미칠 준비도 필요하지 않을까.
2.bm
2-1. 중소도시의 인구 이동은 인접 지역의 공급에 따라 숫자가 달라진다. 절대적인 숫자가 없다고 넘기지 말고 인접 지역의 공급이 없었는지까지 파악할 것.
2-2. 중소도시는 학업성취도 보다, 학급당 학생수와 특목고 진학률이 유의미할 수 있다.
2-3. 진짜 생각보다 연식이 차지하는 위상이 높다. 서울/수도권 투자와 분리해서 생각할 것.
2-4. (조모임 bm) 중소도시는 장기간 보유가 아니기 때문에 5년내 개선될 환경은 생각하지 말자.
3.지방투자기초반 마무리
갖고 있는 돈으로, 현실적으로 할 수 있는 투자를 배울 수 있는 기회였다. 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 좋은 단지를 골라야 하는 것, 그리고 싸이클과 공급을 고려해야 하는 것 등. 너무나 적극적인 투자 공부가 필요한 영역이다.
단지임장을 하면서, 직감적으로 느껴지는 이곳 괜찮은데? 에 해당되는 단지들이 있었다. 그 단지를 모호하게나마 제주바다님이 짚어주실 때는, 아 그래도 내가 전보다 성장했구나 싶은 뿌듯함이 있었다. 그렇게 작게 나마 지방을 이해해간다.
쫄보이고 초보여서, 투자금을 최소화하여 최대한 투자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는 단지를 찾아봐야겠다.
아직, 젊고, 나한테는 부동산 여정을 함께해줄 적극적인 남편이 있고, 또 좋은 투자동료들이 많으니까. 쫄보지만 해봐야겠다 ㅠ.ㅠ!
댓글
월부둥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