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천만원 아끼는 부동산 지식은?
[초보자 BEST] 열반스쿨 기초반 - 1500만원으로 시작하는 소액 부동산 투자법
너바나, 자음과모음, 주우이

내안을 풍요로움으로 채우기 위해
하루 하루 온마음을 다하는 내안의 풍요입니다.
부동산투자와 긴밀하게 연결된 부분이 정책입니다.
부동산정책에 따라 사람들의 심리가 변화하며
심리가 가격에 반영되는것을 보며
변화되는 부동산 정책을 알아두여야함을 인지했고.
25년에 변화되는 부동산정책과정의 기사를 보며
나의 생각을 정리해보며 글로 남깁니다.

새해 부동산 정책 변화 8대 포인트
부동산 투자 격언 중 “정부 정책에 맞서지 마라”는 말이 있다. 그만큼 시장은 정부 정책에 크게 영향을 받고 움직인다. 새해 달라지는 부동산 관련 정책은 신혼부부, 청년층 등 젊…
https://www.donga.com/news/article/all/20250105/130788566/1
1. 신생아 특례대출 소득요건 완하

현재 : 부부합산 연소득 1.3억원이하
변경 : 부부합산 연소득 2.5억까지(25~27년까지)
대출한도 : 주택구입 시 최대 5억원(구입가 9억원이하)
전세자금 : 수도권 5억원, 지방4억원이하(대출한도 3억원)
* 추가 출산경우 0.4%까지 우대금리 적용
📍 포인트 :
연소득요인 증가로 대출가능 범위 확대
📍생각할점 :
특례대상이 넓혀져 9억원이하 주택에대한 수요 증가
나는 어떤 금액대를 타켓해야 하는가?
2.중도상환수수료 50% 인하

요.
현재 : 중도상환 수수료 1.2~1.5%수준
변경 : 주담대 0.6~0.7%, 신용대출 0.4%수준
📍 포인트 :
대출금리가 낮아질 경우 갈아타기 부담해소
📍생각할점 :
금리인하가 되면 인하된 금리가 더 좋은조건일수 있다.
무조건 중도상환하는것이 아닌
역계산해서 이자부담을 줄일 기회를 찾자!
3. 스트레스 DSR 3단계 시행

대출한도가 줄어들고 원리부담금 늘어날 전망임
DSR3단계 실행되면 주택시장 유동성 축소
📍 포인트 :
하반기보다 상반기에 대출유리
📍생각할점 :
특례대출과 일반대출의 유동성이 달라
내가 투자로 볼 금액대를 생각해보기
(대중과 반대로 생각하기)
4. 청년주택드림 대출
대상 : 연소득 5천만원 / 19세~24세 무주택 청년 1년이상납부
혜택 : 분양가의 80%까지 최대 40년간 최저 2.2금리대출
가입2년이상 5000만원한도 최대 연 1.7% 우대금리 /
📍 포인트 :
청년층의 부동산취득 시 혜택제공
📍생각할점 :
점수가 낮은 청년들이 분양을 받을 확률은?
지방분양시장에도 훈풍이 불까?
5. 인구감소지역 / 비수도권 미분양 주택 취득 시 취득세제 혜택
대상 :
인구감소지역 주택 구매자
(공시지가 4억이하 주택) / 24~26년
비수도권 준공후 미분양 전용면적 84㎡이하
(취득가액 6억원이하 미분양주택) / 24~25년
혜택 : 양도세 비과제 매수가 12억원 까지
장기보유특별공제 최대 80%

.
📍 포인트 :
인구감소지역과 비수도권 미분양 주택 세제혜택
📍생각할점 :
정책만으로 추가 주택을 비수도권에 할 필요는 있나?
자산상황에 맞는 결정 필요
6. 다주택자 양도소득세 중과 배제
대상 : 조정대상지역 내 다주택자
혜택: 25.5월 종료되는 시점에서 1년 유예
양도세기본세율(6~45%) 적용
단 ,2년보유는 기본
📍 포인트 :
조정대상인 경우 양도세가 기본세율로 세금 부담완화
📍생각할점 :
비조정지역에 투자할 나는? 지금은 관계없으나
언제 조정대상지역으로 될수 있음
7. 1가구 1주택 공제계산 방법 변경
대상 : 1가구 1주택이 된경우 주택으로 용도변경
혜택 : 비과세혜택 및 장기보유특별공제 최대 80%
📍 포인트 :
주택으로 변경해서 비과세 가능
단, 비주택보유기간은 일반공제
8.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대상확대
대상 : 무주택세대주와 배우자에게 확대적용
혜택 : 연납부액 300만원한도로 40%소득공제(최대 120만원)
📍 포인트 :
소득공제 완화(부부 모두)
📍생각할점 :
소득공제때문에 계획없는 청약저축 늘리는게 좋은것인가?

댓글
내안의풍요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