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버는 독서모임 - 부동산 트렌드 2025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김경민 외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김규석, 이소영, 이보람, 이영민, 정재훈 

읽은 날짜 :  2025.01.31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골든크로스  #W파고  #생존율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

 

 

1. 저자 및 도서 소개 

 : 

부동산 트렌트 2025, 김경민 외

 

 

2. 내용 및 줄거리

 : 

[PART1. 2024년 부동산시장 다시보기]

 -결국 시점의 문제일 뿐 서울 아파트 가격이 상승할 전조

 -2024년 금리가 하락할 경우 서울시 부동산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보았다

 -정부의 정책 실패가 존재하는 경우, 집값 상승과 더불어 ‘전략적대처(실거주자의 경우 매수)’를 조언했다.

 

[PART2. 빅데이터로 분석한 서울&전국아파트]

 -즉 서울은 N파고를 넘어 W파고의 가능성이 존재한다

 -가격 확산이란 특정 부동산의 가격 움직임이 주변지역에도 비슷한 영향을 미치는 것을 말한다

 -서울의 강남구와 서초구 지역은 대한민국 부동산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서울의 노도성은 중저가 아파트 시장의 중심지로 서울 부동산 시장의 전반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PART3. 2025년 부동산 투자 빅이슈 TOP6>

 -슈퍼싸이클: 서울 아파트 대세상승 신호탄

 -인플레이션: 부동산 상승의 기폭제

 -전세가격폭등: 매매로의 전환을 이끌다

 -PF사태: 정책실패와 최악의 공급부족

 -공급절벽: 정확히 얼마나 심각한다

 -퍼펙트 스톰: 공급부족과 금리인하의 협공

 

[PART4. 12개 대장단지 상세 리포트]

 -서울시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는 기본적으로 대형 단지들의 흐름을 반영한다

 -금리는 아파트의 매매가격과 역의 상관성을 보인다.

 

[PART5. 2025년 부동산 가격 대예측]

 -금리 인하는 주택담보대축 이자율을 낮추며, 이는 부동산 수익률 인하로 이어지고 결국엔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연결

 -노도성 지역을 아파트들은 강남과의 동조화현상, 신축과 구축의 프리미엄 격차, 재건축 정책 등의 변수에 의해 크게 영향을 받을 수 있다.

 

[PART6. 주목해야할 핫플레이스]

 -요즘상권은 변화무쌍하다. 짧아지는 상업공간의 생애주기는 생존율으로 설명 가능하다.

 -요즘소비는 단순히 제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하는 행위를 넘어 사회적상징성, 개인적 경험과 의미를 함꼐 아우르는 복합적인 과정이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1) 대한민국 부동산 시장을 이끄는 서울의 트렌드

 서울의 현재상황, 주요단지의 가격변화, 앞으로의 투자방향성을 통해 서울의 방향성을 알게됨.

 

2) 앞으로의 투자방향

 강남, 노도성 등 서울 내에서도 서로 다른요인들에 의해 가격이 영향을 받는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강남, 서초만큼 중요한 노도성시장

고가와 중저가 아파트 시장 가격이 서로 다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고 있으며,

각 시장의 특성과 동향이 뚜렷하게 구분되고 있다.

2025년 서울은 상승기에 접어든다면, 나는 어떤 투자를 할 것인가?

어떤 지방이 수익을 낼 수 있을까? 수익을 내기 위해선 어떤 선택을 해야할까?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 000 (전자책인 경우 전자책이라고 작성 부탁드립니다😊)

 

p244 

"금리 인하는 주택담보대출 이자율을 낮추며, 이는 부동산 수익률의 인하로 이어지고, 

결국엔 부동산 가격 상승으로 연결된다"

 

금리 인하가 이자율을 낮추는 것과 함께 부동산 수익률의 인하가 되는 과정이 새롭게 다가왔음

수익률 인하가 되지만 결국 부동산 가격 상승이 된다는 개념이 재미있었음

 

기존생각: 금리인하 → 이자율감소 → 부동산 매매증가 → 가격의 상승 

추가생각: 금리인하 → 이자율감소 → 부동산 수익률 인하 → 부동산 가격 상승

 

다른 분들은 어떤 것들이 신기하게 다가왔는지 궁금함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댓글


프로러너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