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당당하고 근성있는 투자자
바니바니당근입니다.
지방투자실전반 4강을 수강하였습니다.
4강은 ‘게리롱 튜터님’께서 진행해주셨습니다!
약 2년간 이 강의를 해오셨다고 하는데..
지금 강의를 최고 수준으로 준비한다고 말씀주셔서
강의 도입부부터 기대&믿음이 뿜뿜 갔습니다 :)
인상 깊은 부분 중심으로 후기 남겨보겠습니다!
비교평가=1등뽑기?
임보 결론부를 이야기 하다보면
비교평가? 1등뽑기? TOP3?
막 혼재되어 이야기 하곤 하는데요.
이걸 딱 구분하여 이야기 해주시니
명확하게 와닿았습니다.
튜터님께서 <1등뽑기 프로세스>를
다음 4단계로 가져간다고 하셨는데요,
가치 → 가치 : 가치 있는 것
저평가 → 매매가 : 가격이 저평가 되어있고
수익성 → 투자금 적게 들고
리스크 → 공급 : 내가 감당 가능하면
그 중 가치와 가격으로 비교평가하는 것이고
투자금, 리스크로 1등 뽑기 하는 것입니다.
구분 동작으로 익히다보면 수영을 온전히 잘하게 되는 것처럼
비교평가는 가치와 가격으로, 그 다음 투자금과 리스크로 1등 뽑기를 하며
전체 1등 뽑기 프로세스를 체화시켜보겠습니다.
지방에서의 비교평가
지방에서의 지역내, 지역간 비교평가를 세심하게 알려주셨는데요.
지방은 개별 단지 선호도를 잘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이 내려졌습니다.
수도권과 달리 지방에서는
1. 입지 : 위치 그 자체
2. 상품성 : 연식, 브랜드, 대단지
3. +선호요소 : 학군, 환경, 커뮤니티
이 세 가지로 단지 선호도가 결정지어지는데요.
또 이렇게 단지 선호도를 정리하고 우리가 젤 자주 하는 것..
바로 그래프 우다다 붙여보는 것에 대해서도
뒷통수를 울리는 포인트를 짚어주셨습니다.
그래프 비교는 과거 가격 흐름을 통해 가치 비교하기 위함인데
1. 흐름이 같은 지역 내 단지끼리 비교
2. 5년 이상 지난 단지로 비교 (신축빨 빠질때)
3. 단지 개수는 가급적 2개씩만 비교
특히… 아실 - 여러 단지 비교 이용해서
비슷한 단지들을 3,4개씩 비교하고 그랬던 게 생각나며..
대체 뭘 얻고자 그걸 붙였었지? 싶었습니다.^^;;
앞으로 단지분석에서는 두 단지끼리만 붙여서
과거부터 지금까지의 흐름을 면밀하게 분석해보겠습니다.
신축 24평vs. 구축 32평
평균적으론 30평대 대비 20평대가 00%, 수도권은 00% 수준이나
이보다 20평대 선호도를 이해하는 게 훨씬 중요하다며 포문을 열어주셨어요.
진짜 많이들 궁금해하시는 영역인데요.
수도권은 30평대 올라갈때 20평대도 거의 비슷한 폭으로 따라 올라가지만
지방에선 30평대 상승률을 20평대가 못 따라가는 흐름을 보였는데요.
그래서 지방에서 30평대, 20평대간 선호도 차이도 크고 상승장에서 더 벌어지는 걸 확인했습니다.
이런 양상을 보이는 이유는 ‘입지 독점성’ 때문이었는데요.
이런 사실 기반으로 투자 생각을 할 때는,
지방에서는 무조건 30평대다 (X)
지방에서는 30평대랑 붙어볼만한 특기(선호도)를 가진 20평대는 투자할 수 있다 (O)
이 선호도는 다음 두 가지 경우가 해당됩니다.
1. 20평대더라도 신축&때단지&브랜드 20평대
2. 입지가치가 탁월한 생활권
그렇기에 지방 투자를 검토하는 저에게
너무 중요한 액션플랜이 생겼는데요 :)
지방은 30평대를 우선 검토하되
30평대 못지않은 선호도를 가진 20평대라면, 30평대와 20평대는
단지 그 자체로 가치 비교해보겠습니다.
그 중 더 저평가되고 투자금 적게 드는 단지에 투자하겠습니다.
이렇듯, 이번 4강에서는 비교평가와 1등 뽑기에 대해 알려주셨는데요.
이미 알고 있다고 생각했던 영역에 상상보다 더 많이 구멍이 숭숭 뚫려있었더라고요..!
이번 강의를 통해 다시 정립하고 메꿀 수 있어서 정말 좋았습니다♡
자세하게, 재밌게 풀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