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신청 가능한 독서모임
9월 돈버는 독서모임 - 부의 전략수업
독서멘토, 독서리더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2025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외 4명 / 와이즈맵
읽은 날짜 : 1월 중순~1월 말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부동산 사이클, 골드크로스, 금리인하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 점?) : 8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김경민 저자는 2020년부터 지금까지 부동산 트렌드를 매해 집필한 것으로 보인다.
저자는 서울대 지리학과 학사, UC 버클리를 거쳐 하버드 박사까지 한 사람으로 부동산을 연구하고 빅데이트를 기반으로 분석하고 예측을 하는 분이다.
방송에도 출연하고 타 부동산 유튜브 채널에서도 얼굴을 몇 번 본 적이 있는데 돈독모를 통해 이 책을 접할 수 있었다.
2. 내용 및 줄거리
: 2025년 서울 부동산, 슈퍼사이클에 돌입하다
매년 빅데이터 분석을 근거로 서울시 집값 예상치와 당해의 투자 이슈를 짚어주는 ≪부동산 트렌드≫ 시리즈가 2025년 부동산 시장을 전격 해부한다. 2024년 현재, 각종 매체에는 상승장이 왔으니 ‘영끌’해서라도 집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과, 부동산 시장이 붕괴될 것이니 있는 집도 팔라는 의견이 뒤섞여 있다. 상반된 주장에 혼란스러운 투자자들은 정확한 데이터와 균형 있는 의견을 제시해줄 전문가를 절실히 찾고 있다. 이에 김경민 서울대 교수는 “서울 부동산은 2021년도의 전 고점을 넘어 신고가를 기록할 것”이라며 확실한 ‘상승’ 방향을 예고한다. 역대 최악의 공급 부족과 금리 인하 신호, PF 문제 연장, 전셋값 폭등 등 시장의 모든 지표가 가격을 밀어 올릴 준비를 갖췄기 때문이다. 심지어 강남 부동산은 이미 슈퍼사이클 진입을 완료했다. 『부동산 트렌드 2025』는 더욱 정밀해진 분석으로 ‘2025년 집값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25년 버전을 처음 접해 보는 책으로 앞으로의 부동산의 방향을 어떻게 볼지 가볍게 읽어보기는 괜찮은 책인 것 같다.
주식을 포함해서 부동산의 앞으로 일은 아무도 알 수 없지만 이런 인사이트의 책은 꾸준히 읽을 필요가 있어 보인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월부에서 많이 언급한 상황이 겹쳐서 언급된 내용도 많고, 상급지가 먼저 오르고 옆으로 퍼지는 양상을 보인다는 점을 언급한 것은 월부인이라면 누구나 아는 내용일 것이다.
내집 한채를 가지고 있고 실거주자라면 괜찮으니 보유하라는 내용은 무주택 자라면 지금 이시기에 매매를 하도록 용기를 주는 말이지 않을 까 싶다.
저자가 말한 골든크로스 (91P) 라는 새로운 용어를 설명하면서 혹하게 만들었지만 그건 어디까지나 과거의 자료를 바탕으로 펀더멘탈을 설명하기에 나에게는 딱히 매력적으로 다가오지 않았다.
미래는 아무도 모르고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 나의 의견이다.
어쨌든 저자는 24년 4월부터 현재까지 상승기에 진입했다고 보는 점이다.
지금은 갑작스러운 정치적인 상황이 상승을 붙잡고 있고,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높지 않기 때문에 보합에서 주춤하고 있는 상황이기는 하다. 유튜브에서 하락론자들이 많이 나오고 있고 부동산 투자를 하기에 좋은 시절이 지났다고 말하는 사람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런 상황일 수록 부동산을 더 공부하고 미리 준비해야 하는 자세가 필요할 것 같다.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밀리의 서재>전자책입니다.
: 19P
2025년 서울 부동산 시장의 미래는 대폭락의 22년 상황과 정반대가 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23P
25년 이후 저조한 신규 아파트 공급은 10년대 중후반의 부동산 시장 상황을 재현하며 집값이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24년 가격 정체 혹은 일부 하락이 이루어지더라도 본인이 실거주라고 하면 이후 상황을 고려해 전략적으로 대처해야 한다.
59P
김포가 읍지역으로 대학 입시에서 농어촌 특별전형의 대상이 된다는 점이 학부모의 제 관점에서는 새로운 정보임
169P
오히려 서울같은 지역에서는 지역민들의 소득 수준이 중요하다.
소득이 증가하면 부동산 가격은 상승할 수 밖에 없다.
여기 책에 나온 아파트는 좋은 아파트라고 생각하고 저점에 나온다면 매수해도 괜찮다고 생각하면 되나??ㅎㅎ
174P
금융시장은 시점이 문제일 뿐, 금리는 인하된다라고 저자는 언급함.
지금 자영업자 및 한국 국민들이 물가 상승으로 실물 경제는 안 좋고 한국의 경기 침체가 더욱더 예상되고 있는 가운데 금리를 인상한다는 것은 쉽지 않은 일인 것 같다.
사실 투자자 입장에서는 금리 인하된 다는 것이 좋은 점일 수 있겠지만 한국경제를 생각한다면 양면의 검인 것 같다.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머니 트렌드 2025
댓글
유수꽃길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