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버는 독서모임 - 부동산 트렌드 2025 (25.2)

돈버는 독서모임 - 부동산 트렌드 2025 (25.2)

 

책 제목(책 제목 + 저자) : 부동산 트렌드 2025

 

저자 및 출판사 : 김경민, 김규석, 이소영, 이보람, 이영민, 정재훈

 

읽은 날짜 : 02.01~02.06

 

핵심 키워드 3가지 뽑아보기 : #인플레이션  #전세  #공급

 

도서를 읽고 내 점수는 (10점 만점에 ~ 몇점?) : 10점

 

 

1. 저자 및 도서 소개 

 

 : 2025년 서울 부동산, 슈퍼사이클에 돌입하다

 

매년 빅데이터 분석을 근거로 서울시 집값 예상치와 당해의 투자 이슈를 짚어주는 ≪부동산 트렌드≫ 시리즈가 2025년 부동산 시장을 전격 해부한다. 2024년 현재, 각종 매체에는 상승장이 왔으니 ‘영끌’해서라도 집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과, 부동산 시장이 붕괴될 것이니 있는 집도 팔라는 의견이 뒤섞여 있다. 상반된 주장에 혼란스러운 투자자들은 정확한 데이터와 균형 있는 의견을 제시해줄 전문가를 절실히 찾고 있다. 이에 김경민 서울대 교수는 “서울 부동산은 2021년도의 전 고점을 넘어 신고가를 기록할 것”이라며 확실한 ‘상승’ 방향을 예고한다. 역대 최악의 공급 부족과 금리 인하 신호, PF 문제 연장, 전셋값 폭등 등 시장의 모든 지표가 가격을 밀어 올릴 준비를 갖췄기 때문이다. 심지어 강남 부동산은 이미 슈퍼사이클 진입을 완료했다. 『부동산 트렌드 2025』는 더욱 정밀해진 분석으로 ‘2025년 집값 시나리오’를 제시한다.

 

2. 내용 및 줄거리

 

 : 1. 2024년 부동산 시장 다시 보기

 2. 빅데이터로 분석한 서울&전국 아파트 

 3. 2025년 부동산 투자 빅이슈 TOP6 

 4. 12개 대장 단지 상세 리포트

 5. 2025년 부동산 가격 대예측

 6. 주목해야 할 ‘핫 플레이스’ 

 

 

3. 나에게 어떤 점이 유용한가?

 

 : 임대료 상승이 집값을 끌어올리는 이유와 인플에이션으로 원자재가격 상승, 임금인상, 대출비용 증가 등으로 시공비 상승, 시공비 상승의 규모가 어느정도인지 , 파급효과(건설 지연 및 인허가 물량 감소)가 얼마나 클지 생각해 보아야 한다는 점 알게 됨

신축아파트와 구축 아파트 간의 가격 차이가 지나치게 벌어지는 경우, 사람들은 불편을 감소하거나 리모델링 하는 선에서 구축아파트로 돌아설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됨

전세가격 까지 상승한다면 구축아파트도 사람들의 관심망에 들어갈 수 밖에 없다

전세가격 상승의 원인 : 인플레이션, 입주물량 부족, 전세사기로 인한 빌라포비아

공급물량의 79%가 특정지역에 몰려 있다. 지역적으로 지나치게 편중되어 있다. 

인플레이션으로 인한 시공비 급등, PF정책 실패로 말미암은 토지 가격의 유지와 공급부족, 전세가격 상승과 매매로의 전환, 예상되는 금리 인하와 부동산 수요자극 등)이 합쳐지면서 모든 요소가 부동산 가격 상승을 가리키고 있다.

 

4. 이 책에서 얻은 것과 알게 된 점 그리고 느낀 점

 : 서울 대장 단지 가격 분석에 대장단지별 상승기와 하락기의 금액과 거래량을 볼 수 있어 좋았습니다. 정부의 개입이 현실화 될 경우 단지적으로는 앞선 시나리오대로 부동산 가격이 움직이지 않을 수도 있다. 정부가 시장변화를 인지하는 시점이 시장 참여자들에 비해 상당히 늦으므로 장기적인 상승세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는 점

 

 

5. 책을 읽고 논의하고 싶은 점은?(페이지와 함께 작성해 주세요)

 

P.127~ PF대출 연장이 불러온 공급 절멸

 

: PF 대출연장의 원인으로 공급이 매우 부족하게 되었다는 점을 이해하고 앞으로 어떻게 될것인지 PF대출은 계속 유지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6. 연관 지어 읽어 볼 만한 책 한 권을 뽑는다면?

 : 


댓글


경자V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