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직장인으로 10억 달성하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게리롱님 강의 들으면서 궁금하던게 아주 시원~하게 풀렸습니다.
특히 저가치 물건과 저평가 물건은 구분하는 그 표!!!!!!
진짜 광명찾은 것 처럼 눈이 번쩍 뜨였습니다.
사실 소액밖에 없는 초보투자자로서 현재 투자 진행 중인 물건이 있는데, 제가 찾은 물건이 분명 저환수원리 다 따지고 입지 분석도 완료했음에도 불구하고 너무 싸서 이게 혹시 저가치 물건이면 어쩌나 고민을 많이 하고 있었거든요.
진짜 저 입지vs상품성 표 하나로 묵은 체증이 싹 내려가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이 표를 통해 현재 투자 진행 중인 물건이 저평가 물건이 맞고 특히 매도 계획으로 몇 년 이상 보유할 수 있는 물건인지 확신이 생겼습니다. 너무 감사합니다.
그리고 서울 기준으로 단지별로 전고점을 이용하여 아파트 단지별 선호도 및 서울 동별 선호도를 줄 세운것!!!
진짜 천재 만재십니다.
저는 이거 보고 이거 수도권에도 만들어봐야겠다(적용) 생각을 했습니다.
리스크 부분보고 궁금했던 것은 * 공급이 3년 기준으로 과다하다 vs 공급이 특정 년도만 있으면 기회다 의 명확히 기준이 궁금했습니다. 3년 내내 적정 수요보다 공급이 높으면 공급 과다인 것은 알겠는데, 1년차 3년차 2년이 과다하다면? 1년차는 많고 3년차가 약간 적정수요보다 높다면? 혹시 수도권은 지방과 달리 인근 지역의 수요를 땡기는데, 어떤 식으로 적정수요를 봐야하는지도 궁금했습니다.
아 그리고 시세트래킹 하는게 진짜 너무 막막하고 모든 단지를 언제 다보누.. 하면서 놓고 있었는데
장바구니 담은 것만 본다!! 그걸 순위별 표로 변환하는 엑셀파일도 진짜 눈이 번쩍 띄였어요
진짜 이거 안들었으면 어쩔뻔했냐.. 싶었습니다.
임보에서도 항상 단지 시세, 임보 쓴 후는 시세트래킹에서 투자자로서 많이 부족함을 느꼈는데
바아로 이거다!!! 하는 느낌이 들었습니다.
아 그리고 첫투자 사례 들려주셔서 감사함니다.
실패한 게 아니고 성.공.한. 첫 투자 사례!!!!ㅎㅎㅎㅎㅎ
이거 들으면서 궁금했던 점은 그때로 돌아간다면 2만세대 공급에 대해 어떤식으로 리스크 대비를 했을지가 궁금했습니다. 저라면 3년으로 계약을 할까? 라는 생각을 했긴 한데 이게 맞는 것인지..
더하여 공급이 많기는 하지만 특정 년도에 집중되어있는 지역( 소개 해주셨던 ***구나 경기도**) 같은 경우엔 현재 25년 기준으로 공급이 많고 이후론 적정 수요를 많이 넘어서는 공급이 없는데 25년 전세를 맞출때 딱히 2년후를 대비하여 3년 계약이라던가 이런 조치를 하지 않아도 될지가 궁금했습니다
한편으론 25년 공급많은게 그때까지 해소가 안되고 전세가가 떨어지진않을까 하는 걱정?!
ㅎㅎㅎㅎ아무튼 너무 유익한 강의였습니다 오늘 다시 한번 복습하려구요
감사합니다 게리롱님 진짜 열반스쿨 중급반 이거 책만읽고 쉬어가는거 아니야? 하는 열부인들에게 실전 투자, 세세한 기준을 알고싶다면 열중반은 필수다!!!라고 꼭꼭 추천하고 싶은 강의였습니다!
댓글
마음부자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