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10억달성위한 지방투자에 미7조 깜찍이백] 2주차 강의후기

  • 23.11.22



안녕하세요, 임장을 여행처럼 깜찍이백입니다.


지기반 2주차 게리롱님의 강의를 들으며 다시 한 번 중소도시에 대한 선입견을 깰 수 있었습니다.


제게 C 지역은 시험 치러 중학교 때 방문했던 이후로

살면서 다시 갈 일이 있을까 했던 곳인만큼 정말 생소했는데요.


이제는 C 지역에 대한 관심이 마구마구 생긴 마음과

좋은 강의 해주신 게리롱님께 감사한 마음을 담아 강의후기를 남깁니다.




C 지역을 통해 입지를 분류하는 사고 과정 익히기


C 지역이 왜 투자 가능한 곳인지, 그리고

생활권과 B.M. 각 생활권별 입지요소를 바탕으로 선호지역/비선호지역으로 분류하는 과정은

앞으로도 계속 반복 적용해 나가야하는 부분이라 생각했습니다.


아직 각 입지요소에 대한 자료를 이곳저곳에서 레버리지하며 복붙 중이지만

앞마당을 넓혀가면서 입지요소에 대한 의미 해석을 더 깊게 하며

선호 생활권 및 투자 리스크를 잘 파악할 수 있는 투자자가 되고 싶습니다.


특히 입지요소 중 공급 부분은 다음 임보 작성 시 보완하고 싶은 부분인데

단순한 평균 공급량이 아니라 B.M. 매전지수를 바탕으로 소화 가능한 공급량을 파악하고

이를 투자에 참고하는 부분은 앞으로 적용해볼 예정입니다.



생활권별 시세를 분류해보고 가격 형성 요인을 파악해보기


임보 작성하면서 자체적으로 나눈 생활권별로 시세를 조사하고 있는데

20평/30평을 나눠 매핑해야할지, 연식별로 나눠 매핑해야할지, 가격별로 나눠 매핑해야할지

혼돈의 카오스인 상태에서 생활권별 시세를 어떻게 정리하는지 배웠습니다.


모든 지역이 이에 딱딱 맞게, 예쁘게 분류되진 않겠지만

시세 분류 시 B.M. 생활권별로 갖고 있는 가격/연식범위를 이용해서 직관적으로 알아보기 쉽게 나눠보고,

이를 통해 해당 지역의 전반적인 가격의 감을 익혀가겠습니다.


추가로 B.M. 왜 이 지역이 무엇 때문에 이 가격인지

가치(핵심입지요소)와 가격을 동시에 볼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명확한 투자 우선순위와 의사결정 기준


게리롱님은 복잡해보이는 숲을 단순히 몇 그루의 나무만으로 정리하실 수 있는 분처럼 느껴졌습니다.


저같은 초보도 이해할 수 있게 큼직한 지방 투자 기준을 제시해주셔서

지기반 수강하면서부터 갖고 있던 의문점들이 상당부분 해소되었습니다.


앞으로 B.M. 하지 말아야 할 것은 하지 않으면서 할 수 있는 부분은 큰 시야로 찾아볼 예정이고,

제일 중요한, 싼(!!!!) 가격을 기억하겠습니다.

(C 지역 꼭 간다)



언제든 투자할 수 있는 사람이 되쟈 &__*


내년 1호기 투자를 목표로 달려가는 이 시간이 투자와 동시에 하락장을 만나 물거품이 되면 어떡하나

가끔씩 근거없는 걱정을 할 때가 있었습니다.


하지만! B.M. 앞마당을 늘려가고

>> 투자할 물건이 계속 보이고

>> 내 물건을 지켜나가며 투자 잘하는 사람이 된다

>> 다음 상승장, 다다음 상승장 때 부자가 될 수 있으리라는 확신을 갖고 스스로를 다잡을 수 있었습니다.


저번달 실준반 때 조장님께서 해주신 말씀이 떠오르는데요,

거북이가 토끼를 이긴다! 이 말을 항상 명심하면서

B.M. 욕심 부리지 않고, 매사 감사할 줄 아는 투자자로 성장하겠습니다.




오랜만에 감사일기를 쓰며 마무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23.11.22 감사일기]

  1. 2주차 강의후기를 작성할 수 있어 감사합니다.
  2. 종강 전 강의를 한 번 더 들을 수 있어 감사합니다.
  3. 내일 새벽근무를 걱정해주시고 격려해주시는 사랑하는 우리 부모님 감사합니다.



우리 모두 화이팅! :-)


댓글


베도미
23. 11. 23. 16:18

이백님 임보bm부분 저도 다시한번 정리 하고 갑니다! 과제도 열심히하시고 응원과 격려도 해주시는 부모님에대한 감사까지♡ 저는 이백님이랑 같은조라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