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포도링입니다.
오늘은 매번 임보발표할 때마다
조원들이 물어봐주시는
연식별, 평형별 매매/전세 그래프
확인하는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려고 합니다.
저는 특히 "지방"에서
투자범위를 설정할 때, 많이 참고하는데요.
실제 임장보고서에 작성한 내용으로
예시를 자세히 살펴볼게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과거 청주 흥덕구, 서원구를 임장하면서 작성했던 내용입니다.
해당 내용을 통해 저는
1) 현재 연식별 평균 가격은 얼마인지 (가격의 기준점)
2) 연식별 상승률은 어떻게 되는지 (우선순위)
3) 현재 평형별 평균 가격은 얼마인지 (가격의 기준점)
4) 평형별 상승률은 어떻게 되는지 (우선순위)
을 확인하고,
이 지역에서의
"우선순위와 투자범위"
를 확인했습니다
물론 여기에
'08년식 이상을 사야겠다.'
라고 써놓긴 했지만,
이건 데이터를 통한
개인적인 의견을 작성해 놓은거고,
실제로는 단지분석, 현장임장을 통해
이렇게 설정한 투자범위가 어느정도 일치하는 지를
확인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그럼 방법적인 부분에 대해서 알려드릴게요.
1. 부동산 지인 접속
1) 지인에 접속해서 지역분석에 들어갑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2) 원하는 지역을 설정하고 검색을 클릭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3) 그럼 해당 지역에 데이터가 나오는데,
그 중 "멀티차트"에서 원하는 시세를 클릭합니다. (면적별 or 연차별)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4) 그리고 앞서서 표시되어있던 시장강도/시세강도는 표시를 삭제합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5) 짜잔 완성 ^^! 간단하죠?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6) 면적별, 연차별 시세를 금액으로 자세히 확인하고 싶다면?
아래르 스크롤을 내리면 구체적인 데이터가 나옵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2. 임보에 넣기
이건 최근에 다시 청주를 방문했을 때,
작성했던 임보입니다.
대표사진 삭제
사진 설명을 입력하세요.
요즘은 매매에만 그치지 않고,
"전세까지 확인"해서
매매뿐만아니라 전세상승여력도
같이 확인해보는 것 같습니다.
(하락방어까지도 추측해볼 수 있음)
하지만 이런 데이터보다 중요한 것은
"현장에서 느낀점과 선호도"
라는 것을 명심해주시고,
참고용으로만 확인해주세요~~
감사합니다.
댓글
연식별,평형별 와 너무 중요한 데이터 확인법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