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대한 깎았는데도 목표 타겟가에 조금 안들어오는 단지...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얼마전에 제주바다 멘토님께 투코를 받고 서울 3급지와 4급지 중에 투자 범위 설정해주신 단지들 매물을 털었습니다. 멘토님께서는 15프로 하락을 만들어서 매수를 해보라고 하셨는데 그중 제 앞마당 4급지에서 1순위에(5호선 역세권, 2198세대, 2005년식, 24평,방3화2계/직장A교통A환경B학군B )  들어왔던 단지는 매물도 많지 않지만 10개정도 매물을 보았고 최대한 깎은 가격이 -10%정도입니다. 가격이 더 안깎이고 호가가 올라가는 분위기여서 2순위 단지 ( 5호선 초역세권,2517세대, 2008년식, 24평,방3화2계/직장A교통A환경B학군B) 에서 오늘 최근 가격을 낮춘 급매물을 보고 왔습니다. 생활권은 1순위 단지와 2순위 단지가 동일합니다. 

RR은 아니지만 남향에 층수가 8층이며 판상형에 선호하는 구조입니다. 역 출구까지 5분 소요 됩니다. 물건지 상황을 설명드리면 집주인은 일시적 2주택으로 이 물건을 2년내에정리하고 싶은 상황이어서 임차인을 새로 구하지 않고 공실로 두고 매도할 예정이라고 하시더군요. 

2순위 단지에서 수리안 된 공실 물건을 매가 -13.5% 까지 만들었는데 , 수리비가 대략 1000만원 정도 예상이 됩니다. 전세가율은 60퍼센트 정도 됩니다.

멘토님께 제안받은 하락률이 -15프로인데  1000만원이 추가로 깎이면 딱 타겟 매수가에 들어오는데 도저히 깎이지 않고 매도자가 안팔겠다고 하여 -13.5%인 상태로 매수를 해도 괜찮을까요? 제가 만든 네고한 가격은 최근에 거래된 동향 선호가 더 떨어지는 동보다는 1500만원 낮은 금액입니다.

 

 

 

 

 

 

 

 

 

 

월부 앱을 설치하고, 답변 알림🔔을 받으세요! 앱 추가하는 방법은 공지사항>신규멤버필독 < 여기 클릭!


댓글


user-avatar
후바이user-level-chip
25. 02. 10. 19:56

BEST | 붕어빵님 안녕하세요 :D 코칭 이후 행동으로 옮겨가시는 모습, 그리고 질문을 통ㅎ ㅐ보완해 나가시려는 모습 정말 멋지십니다! 저라면 이렇게 생각해 볼 것 같습니다. 코칭과 강의에서 멘토 튜터님들께서 전고점 대비 기준점을 말씀주시는 이유는 모든 단지의 적정 가격을 일일이 다 말씀드릴 수 없는 부분도 있고, 또 단지 내에서도 동마다 향마다 물건의 상태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그럼 나는 15%인 가격으로 매수한다면 발생가능한 문제점이 무엇일까?를 생각해보면 좋을 것 같아요. 실제로 발생가능한 문제점이요. '15% 하락된 가격에 사지 못했으므로 비싸게 산 것 같아, 별로 못 벌 것 같아' 같은 정성적인 예상이 아니라 실제 체감될 수 있는 염려점들을 말이죠. 이를테면 전고대비 15%까지는 아니지만 15%하락된 가격의 매물입니다. 그런데 13% 하락된 매물보다, 상태가 좋지 못해 수리비가 더 들어가거나, 당장은 수리비가 들지 않지만 2년뒤 4년뒤 보유 관점에서 반드시 큰 수리가 들어갈 것으로 보여지는 매물이 있습니다. 그렇다면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요? 또 15% 하락된 매물이지만 향, 구조, 동이 열위인 동이지만 vs 13% 하락된 가격의 동,향,층, 구조가 우위인 매물이 있습니다.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요? 그래서 저라면 비용과 편익 측면에서 생각을 해 볼 것 같습니다. 또 하나, 15%에 하락된 가격으로 매수하는 것이 적정하다고 하는 이유. 첫째 30% 하락가격은 아니지만 15%라면 비싸지 않고 길게 보면 싼 가격에 산다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15% 하락된 가격에 매수하면 망하고, 30% 하락된 가격에 매수해야만 벌 수 있을까요? 아니겠죠. 싸게 사라는 것은 더 벌기 위해서도 있지만, 덜 위험하기 위해서인 측면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그렇다면 15% 남짓 하락된 가격으로 매수한다면 22말 23년초 처럼 예상치 못한 거시적 요소가 변했을 때 최대 그때의 가격까지 하락할 수도 있겠구나. 최대. 그럼 그 가격까지 떨어진다면 나는 그것을 감당 할 수 있는가? 매매가격은 매도 하기까지 사이버 머니로 생각 해 볼 수도 있으니, 실거주라면 하락하더라도 크게 타격은 없을 듯한데, 임차를 놓은 물건이라면 그때 전세가격의 하락등이 어느정도나 될지 생각해 보고 내가 감당을 할 수 있을까? 를 생각해 볼 것 같습니다 :D 정리하자면 위에 드림텔러님, 버린돌님께서 말씀해주셨듯 매수 후 최대 하락시 내가 그 가격과 전세 임차 수준을 고려할 때 감당가능한지를 살펴보시고, 전고점을 기준으로 하락율을 보고 매수하는 것은 그만큼 더 벌기 위한 측면도 있지만, 그보다 더 중요한 것은 그만큼의 '안전'마진 더 벌 기 위한 초과마진이 아닌 '안전'마진 측면이라는 점을 고려해보셔서 의사결정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15%' 라는 워딩 그자체에만 몰두하시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어(제가 그랬거든요 ㅎㅎ) 길게 적어보았습니다. ㅎㅎ 의사결정에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어요 :D 정말 멋지세요 붕어빵님!! 빠이팅입니다!

user-avatar
드림텔러user-level-chip
25. 02. 10. 17:31

찹쌀붕어빵님 안녕하세요. 제주바다 멘토님께서 말씀해주신 -15%까지 깎이지 않아 속상하실 것 같습니다. -15%까지 깎여서 원하는 가격에 사면 정말 좋을텐데 협상은 마음대로 되지 않는 것 같아요... 2개 단지 모두 사람들이 좋아하고 5호선 초역세권이고 직장도 탄탄한 곳으로 알고 있어요. 1. 기다려보면서 매물을 더 털어본다. 2. 아쉽지만 자산을 가져오는 것이 중요하다. 2가지에 대해 고민을 해볼 것 같아요. 1번은 -15% 매물이 나올수도 있고 최악의 경우에는 지금보다 가격이 더 올라갈 수 있습니다. 2번은 안전마진이 아쉽고 엄청 싸다고 생각할수는 없지만 지금 자산을 소유해서 전고점을 돌파하는 것을 기대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저도 다른 지역에서 원하는 금액만큼 깎이지 않아 매수를 하지 않았는데 가격이 많이 오른 경험을 했었는데 나중에 많이 아쉽다는 생각이 들더라구요. 근데 결과론적인 이야기라서 그 당시로 돌아가도 같은 선택을 했을 것 같습니다..! 각 선택에 따른 편익과 비용을 생각해보고 결정하시면 좋겠습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이니 그냥 지나치셔도 됩니다:) 투자 응원합니다!!

user-avatar
버린돌user-level-chip
25. 02. 10. 18:20

안녕하세요 찹쌀붕어빵님 ^^ 투자코칭 받으시고 행동하시는 모습 대단하세요. 생각보다 협상이 쉽지 않은 영역이죠 ㅠㅠ 가장 best는 15% 깎아서 매수하는 것이겠지만, 시장 상황상 어려울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가치있는 자산이고 감당 가능하다면 매수를 고려해볼 수 있을 것 같아요~ 가격 협상이 어렵다면 조건(수리 기간 확보 등)을 협상해보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화이팅입니다 붕어빵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