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년 2월 신문기사

✅ 신문기사 정리
- 이전 거래보다 싼 값에 거래되는 ‘하락거래’ 비중이 1년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 25년 1월 전국 아파트 하락 거래 비중은 44.9%로 23년 12월 47.3%이후로 가장 높은 수치다.
- 하락 거래 비중은 24년 8월부터 계속 증가했고 11월에는 상승 거래보다 하락 거래 비중이 커졌다.
- 서울은 여전히 상승거래 비중이 높은 36.9%, 경기 45.7%, 인천 45.1%를 보였다.
- 서울 내 금천구 66.7%, 노원구 55.7% 등 하락 거래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하는 곳도 보였다.
- 구축 중소형 면적 위주로 거래가 이뤄졌지만 종전 가격보다 낮았다.
- 경기에서는 수정구 61.5%, 이천시 61.1%, 상록구 61.0%, 동두천시 60.0%, 의왕시 55.9%, 처인구 51.8%, 의정부시 50.8%, 파주시 50.4%, 일산동구 50.0%가 하락 거래 비중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 아파트 매매 거래량도 24년 11월 감소한 이후 계속 줄어들어 1월 거래량이 1.8만건으로 집계되었다.
- 지방은 준공 후 미분양 주택도 24년 12월 2만 가구를 넘어서면서 불안한 분위기다.
- 관계자는 경기 침체, 정국 불확실성, 금리 인하 지연 등 영향으로 매수 관망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예측한다.
- 인구 감소, 수요 감소, 지역 경제 불안 등으로 수요가 제한된 가운데 준공 후 미분양까지 더해져 거래 시장의 위축이 지속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 생각 정리
- 집값 예측은 쉬운 일이 아니고 하지 않는게 맞다.
- 일단 기사 내용처럼 하락거래가 늘고 있지만 서울은 일부 자치구를 제외하고는 하락거래가 많지 않다.
- 단순히 기사만 보고 ‘오 요즘 하락하는 추세인가 보군’이라고 생각하지 말아야 한다.
- 지역별로 다르고, 자치구별로 다르고 단지별로 다르다.
- 평균적으로 매매가가 5% 상승, 전세가가 7% 상승한다고 보았을때 그래프를 출렁이겠지만 장기보유 관점에서는 우상향한다. (가치있는 것에 투자했다는 가정 하에)
- 2016년 3월 박근혜 전 대통령이 탄핵되고 5월 대선, 문재인 정권이 2016년부터 집권하면서 집값을 본격적으로 상승하기 시작했다.
- 정국, 경기, 시기가 지금과 비슷하다고 볼 때 그 때 당시 전문가들은 모두 2017년을 하락 추세로 예측했었다.
- 아래와 같이 당시 기사를 찾아보면 대부분 부동산 하락을 예상했고 실제로 하락 전환한 곳도 많았다.
- 하지만 지나고나서 보면 슬슬 매매가 오르거나 보합세를 보이다가 2021년에 상승장을 맞아 크게 올랐다.
- 2017년부터 시작된 무지막지한 규제들에도 사람들이 사고자하면 시장은 방법을 찾아내고 상승하는 것이다.
- 현재 정부가 정상적인 기능을 못하고 있고, 정부가 바뀌어 이재명이 대선주자가 된다고 해서 다주택자가 망하고 부동산 시장이 하락하는 케이스가 생길지 의문이다.
- 시장은 기본적으로 수요와 공급에 의해 움직이고 금리, 대출, 규제, 심리 등의 이유로 추가적인 움직임이 있을 수 있다.
- 현재 부족한 공급을 어떻게 채울지에 대한 대책이 없는 상황에서 어떤 규제가 나오더라도 넘치는 수요와 부족한 공급을 대처할 순 없어 보인다.
- 강력한 규제가 나오면 부동산 가격은 분명 주춤한다.
- 하지만 아래 자료에서 살펴보면 결국 대세적인 상승장의 흐름은 규제가 막지 못했다.
- 특히, 서울/경기/분당/부산의 그래프를 가져왔는데 각 지역별로 그래프의 흐름이 다르다.
- 너나위님이 대표적으로 투자한 분당의 경우는 저평가되어있었던 곳으로 상승세의 기울기가 다르다.
- 그렇다면 지금 그 시장을 경험한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저평가 지역을 살펴봐야 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 변동률을 살펴보면 분당>서울>경기>부산으로 보이지만 이것도 결국 단지 대 단지로 보면 달라질 것이다.
- 중요한 것은 불안하고 혼란스러운 시장에서 누군가 어디든 본인 판단 하에 집을 샀다면 돈을 벌었다는 것이다.
- 미래는 예측할 수 없지만 공부하고 확신이 생겼다면 꼭 행동하고 경험을 쌓아나가자.
- 분명한 건 외부 환경에 상관없이 경험들이 쌓이면 실력이 되고 돈을 벌 수 있다는 점이다.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