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기초반 시선] 1주차 과제 통장쪼개기

3단계로 시작하는 재테크 수비법

가계부 없이도 따박따박 종잣돈 모아주는

<통장 쪼개기> 실행하기!

 

 

1단계 : 지출 종류별로 목표 금액 정하기

 

  1. 강의에서 언급한 지출 종류별로 ‘지금은 대략 얼마 정도 쓸 것이다’ 대략 작성해보기

 

 

 2. 내가 지난 달 실제로 쓴 금액을 카드 내역서나 통장 내역을 보고 지출 종류별로 합계 내보기

 

대출금→식비+신용카드 지출액→여행비용 순으로 지출액이 컸음을 확인했다.

역시 신용카드는 잘라서 없애야 하고 예산을 정해 사용해야 함을 다시한번 느꼈다.

 

 

3. 앞으로 지출 종류별 목표 금액 설정해보기

생활비 - 47만

활동비 - 15만

주거비 - 28만

교육비 - 10만

비정기 - 10만

총 110만원으로 정했으나 활동비와 생활비를 절약해서 비정기로 더 넣고 싶다.

 

 

 

 

2단계 : 각 항목별 통장 계좌를 정하고 연결할 체크카드 발급하기

 

  1. 한 번에 여러 개 통장 만들기 어려우므로 기존 보유한 계좌를 활용하거나 

    하루에 1개 정도 만들어서 필요한 계좌 확보하기

 

 2. 통장별 필요한 체크카드 발급 신청하기

 

→1,2번 둘다 기존에 보유한 계좌와 체크카드가 많아서 있는 걸로 활용해보기로 했다.

또한 정부 정책으로 인해 20일 계좌 개설 제한이 있어 1주차에 계좌를 개설할 경우 2주차에 연금저축계좌 개설이 불가할 수 있다고 해서 기존에 있는걸 쓰는게 더 좋을것 같다고 판단했다.

 

 

 

3단계 : 체크카드에 용도를 네임펜으로 써주고 인증샷 남기기

 

  1. 기존 갖고 있던 신용카드를 자른 인증샷 촬영하기 (BEST)

 

→그동안 나의 소비를 촉진시켰던 신용카드를 잘랐다. 안녕~

 

 

 

 

2. 각 통장별 연결한 체크카드에 용도를 네임펜으로 써주고 모아서 인증샷 찍기

→회사에서 대표님이 저렇게 용도별로 적어놓은걸 본적이 있는데

나도 하게 돼서 감회가 새로웠다.

 

 

 

위 3단계를 마친 후, 용도별 카드 인증샷과 함께

1) 통장 쪼개기 하며 느낀 점 

 

전부터 통장쪼개기를 하고 싶어서 인터넷에서 많이 찾아봤었는데

막상 하려고 하니 구체적인 방법이 모호해서 실행을 못했었다.

 

너나위님께서 너무 쉽고, 구체적으로 잘 알려주셔서

‘이걸 왜 진작 안했을까~’ 그런 생각이 많이 들었다.

 

이렇게 구분해서 쓰다보면

내가 한 달에 생활비, 주거비, 활동비, 교육비, 비정기(여행 등)로 사용한 금액이

얼마인지 딱딱 눈에 보여서 

 

예산에 맞게 지출을 통제하기 쉽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되도록이면 더 저축을 하고 돈이 나가는 것을 볼 수 있도록

체크카드와 현금사용도 같이 해야겠단 생각이 들었다.

 

왜 너나위님께서 저축할 때 현금만 사용했다고 하셨는지 알것 같다.

 

 

2) 내가 주의해야 할 지출 항목 한 가지

 

한가지만 뽑기엔 주의해야 할 지출이 너무너무 많다.

 

  1. 내가 밥 값 다내려고 하는 허세 

→ 부자처럼 보이지 말고 부자가 되라는 말씀이 생각난다.

난 현재 돈이 없고 저축해야 하기 때문에 앞으론 사람들을 만나더라도 무조건 엔분의 1을 하고

검소하게 생활해야겠다.

 

밥값 사주는건 소득이 높아지거나, 내가 부자가 되고 나서 하자.

 

2. 정해진 예산없이 갑자기 떠나는 여행, 콘서트 비용 등의 문화생활비

→이건 신용카드를 없앴으니 앞으로 이렇게 충동적인 지출은 막을 수 있게 됐다.

비정기에 미리 저축을 해서 계획된 여행, 콘서트 등의 문화생활을 즐겨야겠다.

 

3. 충동적으로 인터넷에서 보고 결제하는 전자책

→이것도 신용카드를 없앴으니 앞으로 이렇게 충동적인 지출은 막을 수 있게 됐다.

앞으로 교육비는 미리 저축해 월부강의를 듣는걸로 계획했다.

 

4. 기프티콘으로 지인생일 선물하기

→이것도 미리 비정기에 저축을 해서 계획된 선물을 하는걸로 개선할 생각이다.

남도 내 생일을 안챙기는데 나만 계속 생일선물을 주는것도 이젠 하지말아야겠단 생각도 든다.

 

 

 


댓글


시선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