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4년 2월 신문기사

✅신문기사 정리
✅생각 정리
- 청약제도의 도입 취지는 무주택자에게 주택을 공급하는 것이다.
- 그렇기 때문에 무주택자이고 그 지역에 거주하면서 내집마련을 하고 싶은 사람에게 한정해서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보인다.
- 청약은 많은 현금과 대출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투자자 관점에서 꼭 메리트 있는 건 아니다.
- 또한, 줍줍은 종류가 다양한데 ‘계약 포기 후 재공급’과 ‘계약 취소 후 재공급’으로도 나누어진다.
- 개인의 선택으로 ‘계약 포기’를 한 경우는 그동안 특별한 제약 조건이 없었지만
- 불법적인 이유로 ‘계약 취소’가 된 ‘동탄역 롯데캐슬 무순위’의 경우는 기존 청약의 조건이 모두 남아있다.
- 즉, 아직 정확한 자료가 나온 것은 아니지만 이번 제도는 개인적인 이유로 포기를 한 ‘계약 포기’에 의한 무순위 공급제도를 개선하겠다는 것으로 보인다.
- 청약 자체는 전국구로 받더라도 계약포기 후 재공급되는 물건에 한해서는 자치단체장이 거주 요건을 부여한다는 의미인데, 크게 영향력 있을 것 같진 않다.
- 확률적으로 청약에 당첨될 가능성이 취소 후 재공급되는 소수 물건에 당첨될 가능성보다 높기 때문이다.
- 이렇게 생각하면 청약 제도는 크게 바뀌는 것이 없는 것으로 보인다.
- 청약은 현금이 부족한 무주택자에게 기회를 제공해주고 안정적인 거주지 공급에 있다.
- 하지만 이런 제도가 오히려 그 지역의 생활이 안정적이고 현금이 많은 소수층에게 더 좋은 기회만 제공해주는 게 아닌가 우려도 된다.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