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투자 = 매수 + 임대까지
지금까지 강의를 들으며 투자만 중요하다고 생각했던 것 같다. 이번 계기로 임대의 중요성도 느꼈다.
투자를 한다면 어떤 상태의 매물에 투자할지 모르는데, 매수만 생각하고 임대를 놓았을 때 어떠한 문제가 생기면 어떻게 대응해 나갈지는 생각해 보지 않았었다. 양파링 튜터님의 강의를 듣고 많이 배우고 반성하는 계기가 되었다.
세낀물건에 대해 처음으로 상세히 배웠는데, 그중 갱신요구청구권 부분이 인상 깊었다.
임차인이 2년 의무 거주 후 계약 해지 요구권 사용이 가능하고, 해지 요청 후 3개월 뒤 계약이 만료될 수 있는 걸 전혀 모르고 있었다. 전세를 살고 있는 나는 이 강의를 듣기 전까지도 갱신이 되면 자동으로 2년 의무 거주가 되는 줄 알고 있었다…😩
세낀물건을 투자할 때 상황별로 리스크 헷지하는 방법을 알려 주셨는데 임대인과 임차인의 상황을 고려해 매매계약 동시에 새로운 임대계약을 진행하는 방법도 좋아 보였다. 공급물량, 현재 전세가, 시장분위기에 따라 새로운 계약을 함으로 써 리스크는 줄이고 투자금을 일부 회수할 수 있는 방법도 있다. (매물, 지역마다 다름)
전세 낀 물건은 공급이 많은 시장에서 임대 리스크를 헷지 할 수 있다.
주인 전세 부분은 크게 부담스러운 부분은 없는 것 같다.
특약사항 작성, 전세 만기 정하기 전 공급물량을 확인하고 하자 체크는 할 수 있는 만큼 최대한 꼼꼼히 하는 게 좋을 것 같다.
전세를 세팅하는 과정이 다 똑같을 수 없다. 현재 내 상황에 적합한 물건인지, 투자 후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어떠한 행동을 취해야 하는지 미리 대비할 수 있는 방법을 배웠다. 이번 계기로 물건 선택의 폭을 넓힐 수 있게 되었다.
전세 가격 설정은 부사님께 여쭤보지 말고 단지 내 비교, 생활권 내 비교, 공급물량(단생공) 확인 후 전세가는 내가 직접 선택할 것.
공급, 수요, 포트폴리오(공수포)
투자할 매물의 지역/단지/평형에 수요를 알아두고 임대 만료일을 성수기 시기로 조정하면 추후에 임대 계약 시 리스크를 헷지 할 수 있다.
전세보증보험과 임차인으로 법인이 들어왔을 때, 임대 시 어떻게 활용하는지, 전세 계약 시 특약사항에 어떻게 명시하면 되는지 유익한 정보를 알게 되었다.
가장 궁금했고, 가장 무지한 부분인 계약 프로세스에서 대해 정말 많은 걸 배울 수 있었다.
매수 결정 전 매물의 상황을 미리 알고 대비하여 계약하는 것과, 모르고 하는 것은 큰 차이가 있었을 것이다. 실전 경험을 토대로 사소한 것 하나하나 짚어가며 상세히 알려주셔서, 몰랐던 내용을 알아가고 많이 배워가는 계기가 되었다. 배운 것을 토대로, 미리 대비하여 임대 계약을 진행한다면 사전에 불이익을 줄이고 리스크를 방어할 수 있을 것.
적정 전세가를 설정하는 3단계 - 단지, 생활권, 공급
임대 기간 설정 시 고려해야 할 3가지 - 공급, 수요, 포트폴리오
실전 노하우와 인사이트를 아낌없이 강의에 담아주신 양파링 튜터님께 감사드립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