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열반스쿨 중급반 43기] 자본주의_초집중

  • 25.02.15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자본주의

2. 저자 및 출판사: EBS 자본주의 제작팀

3. 읽은 날짜: 2025.02.05

4. 총점 (10점 만점): 10/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 자본주의란 무엇인가.

    자본주의의 본질을 이해하는 것이 개인과 가족의 미래를 준비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이다. 자본주의는 시장 경제를 기반으로 한 경제 시스템으로, 개인의 사유재산과 경쟁을 중심으로 운영된다.

    자본주의의 핵심요소인 사유재산(개인이 재산을 소유하고 관리), 시장 경쟁(가격은 수요와 공급에따라 결정), 이윤추구(기업과 개인은 이윤 극대화하려고 노력함), 그러나 지나친 경쟁과 이윤추구는 빈부격차 심화, 독점, 경제 불안정의 문제를 만들 수 있다. 

  • 자본주의의 역사는 어떻게 발전해 왔는지,

    초기 자본주의에는 상업 자본주의가 발달하면서 무역 중심 경제가 활성화되었고, 산업혁명 이후에는 대량생산 공업화로 공장 중심 구조였다. 지금 20세기 자본주의는 금융 자본주의가 등장했음, 현대 자본주의는 신자유주의 정부 개입 최소화, 시장의 자유 강조하면서  다국적 기업과 금융 시스템의 확장.

  • 자본주의의 문제점과 한계

    자본주의는 경제 성장을 이끄는 강력한 시스템이지만 경제적 불평등, 금융 위기와 경기 침체, 환경 파괴와 자원 남용, 노동 착취와 불안정한 고용을 일으킨다. (대기업 중심 경제 구조로 자영업자, 노동자 삶이 어려워지는 등)

  • 자본주의를 보완할 대안은 무엇인지

    위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경제 모델(사회적 자본주의, 공유 경제, 지속 가능한 경제, 기본소득제 도입 등)이 제시되었음

  • 자본주의 사회에서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 

    개인이 자본주의를 현명하게 활용하기 위해서는 금융지식을 키워 자산 관리와 투자 전략을 배우는 것이며, 소비보다 자산을 늘리는 것에 집중해야한다. (자산 축적 습관 필요) 그리고 변화화는 경제 환경에 빠르게 적응해야한댜(기술 발전 및 글로벌 경제 변화를 이해), 사회적 가치와 공정한 경제 시스템을 지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  현금은 왜 시간이 지날 수록 화폐의 가치가 떨어지는지 평상시에 공식처럼 입력만 되어있는데 실제로 은행의 대출 예시를 통해 피부로 느낄 수 있어서 좋았따.
  • 자본주의는 경제 성장을 이끄는 강력한 시스템이지만 부작용을 낳기 때문에 돈의 시스템을 이해하는 사람만의 부를 쌓고 경제적 자유를 얻을 수 있다.
  • 지속적으로 변화하고 있는 시대에 따라 뒤쳐지지 않도록 개인적으로는 제적 지식, 자산 관리 능력, 변화에 대한 유연성을 키우는 것이 중요하다. 그 변화속에 기회가 어디에 있는지 파악하고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 과거는 취업- 월급 저축-은퇴였지만 이제 그것만으로는 경제적 안정이 어렵다. 새로운 기술인 (AI, 디지털 경제, 블록체인 등)에 대한 관심도 필요하다.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 경제 관련 책 읽기, 부동산 투자 공부 꾸준히 하기, 돈을 만들어내는 시스템을 공부하고 연습하기
  • 소비솝다 자산을 늘려야하는데, 무조건 저축만 말고, 돈을 불릴 방법을 생각하고 계획새우기
  • 새로운 경제 트랜드(기술, 투자, 경제 등)에 관심가지고 학습하기 (그래야 자보눚의 시스템을 이해하고 활용하 ㄹ수 있을 것이다. 무작정 열심히가 아닌 경제적 지식 바탕으로 현명하게 살아가는 걸 배우기)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 보험 가입하기 전에 하나만은 꼭 기억하라

좋은 보험을 어떻게 고를 수 있을까 대원칙은 최소의 비용으로 초대 보장을 받는 것이다. 물론 욕구를 충족시켜주는 완벽한 상품은 없다. 중요한 건 내 목적에 정확하게 맞는지 아닌지 꼼꼼하게 따져보는 것이다

  • 파생상품은 투자를 가장한 도박과 같다.
  • 슬픔은 과소비의 원인이다.

소비를 부추기는 또 하나의 감정은 슬픔이다. 

‘사람들은 자신들이 깨닫지 못하느 사이 실연이나 슬픈 감정을 느낄 때면 평소보다 더 간절히 물건이 갖고 싶어지고, 더많은 돈을 내려고 합니다 .흥미로운 것은 그 과정이 전혀 의식적이지 않다는 점이다.

그것을 공허함 때문인데 슬픔과 연결되는 가장 중요한 주제가 바로 상실입니다. 

그 빈자리를 채우려는 욕구가 생기는 것이다.’

흥미로운 점은 이 과정이 자기 인식이 안된다는 점이다. 다시 말해 의사결정자 자신은 영상을 보면서 느낀 감정이 구매와 판매 가격에 영향을 준다는 사실을 깨닫지 못한다는 것이다. ’

  • 소비자본주의 사회에서의 행복

우리는 자본주의 시대를 살아가면서 소비는 미덕이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왔다. 하루가 멀다고 쏟아져 나오는 상품에 24시간 시도때도 없이 유혹하는 마케팅의 공격에 우리는 쉽게 무너져왔다. 그저 돈 잘쓰는 것이 자랑이라 생각해왔다.그러나 내 안에 감춰진 소비를 부추기는 많은 감정을 돌아 봐야한다. 드러내고 싶지 않아 화려한 물거능로 치장했던 아픈 감정들이 말이다. 이제는 그대로 내버려둘 수 없다 . 소비가 아닌 진정한 나를 찾기 위한 새로운 노력이 필요하다. 


댓글


또다른해피엔딩
25. 02. 15. 18:11

나를 찾기 위한 노력이라.... 그 길을 응원할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