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의 전세시장의 동향,

25년 전반 공급으로 인한 전세 하락지역과 상승지역, 지역별 분석 등 전세시장의 상황을 설명

 

투자는 매수가 끝이 아니라 전세를 마쳐야 끝이다!

 

전세 3가지 유형

  1. 일반전세-임차인 전세금으로 내 매매잔금 마련
  2. 주인전세-매매계약 후 매도자가 전세입자로 전환
  3. 세낀전세-기존 임차인 승계, 계약도 그대로 승계(사전에 미리확인 필요)
                    확인사항 1. 전세보증금-투자금이 적절한가

                                   2. 임대만료일-재계약시 공급이 적절한가

                                   3. 갱신요구청구권 사용여부- 묵시적갱신은 이에 해당하지 않는다.(6-2개월전 의사표시)

                                                                                 새로운 계약도 가능

     

투자시 매수 후 전세까지의 과정에 대응할 수 있는 물건을 선택하여야 한다.

 

조건부 전세대출 규제 일부 완화

임대인 변경조건부, 근저당 말소나 감액조건부 전세대출 가능 금융기관을 활용한다.

 

전세가격 설정

  1. 활권

소액투자시(지방) 전세보증보험(90%까지) 가입여부 확인

-신청시점과 승인시점에 따라 보증한도 상이

 

임대기간 설정

  1. -성수기,비수기 등 지역, 단지, 평형에 따른 특징을 인지
  2. 트폴리오(임대만료시기에 따라)

 

법인임대차- 장점: 높은 전세가, 임대차3법 적용없음

                    단점: 전세권 설정(전대차, 담보대출 가능), 임차인 특정불가

                    법인의 업종, 업태, 설립연도 확인+ 특약으로 대비

 

배운점

실전투자자인 양파링님의 강의로 현실 발생가능한 이슈를 아낌없이 알려주신 것에 감사드립니다.

때마침 임대차계약을 앞두고 있는 상황에서 양파링님의 강의로 계약서 특약 확인 등 전반적인 사항을 체크할 수 있는 시간이 되었습니다.

강의 전에 전세대금 설정, 임대기간 설정 에 대한 세심한 체크가 부족 했음을 다시금 깨달은 강의였습니다.

다음에는 리스크 대응 가능한 전세계약을 할 수 있겠지요.

혼신 강의를 해주신 양파링님 감사합니다.^^


댓글


니캉내캉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