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강후기

나라면, 내가 거주한다면 어디를 선호할까? [열중43기 독강임투 4개 5래하고 성공하조_나스럽게]

  • 25.02.21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비교평가란?

: 제한된 투자금으로 더 버는 투자를 하되, 확신을 가지고 나의 자산을 지킬 수 있는 것.

즉 더 좋은 물건을 사서 수익이 날 때까지 저/환/수/원/리를 가지고 지켜 나가면서 투자로 돈을 버는 것.

 

1.시장의 흐름을 파악하고 어떤 평가로 바라보아야 할지 생각하기

1) 전체적으로 부동산 시장을 파악하기

뉴스, 기사, 방송 등 다양한 방법을 통해서 현 상황을 파악하고 더 나아가 사람들의 반응도 보기

 

2)실제 현장 데이터를 통해 사실인지 확인하기

KB통계를 통해서 파악하고(빨간색인가? 파란색인가?) + 부동산 매물 수를 파악해보고 + 전화 임장으로 확인하기.

 

3) 상대적 저 평가 (부분 저렴/ 부분 비쌈)

: 서울이 가능성이 높고, 그렇다면 강남을 기준으로 저렴한 곳이 어디인지 임장을 통해서 조사하고 투자하기

 

4) 절대적 저 평가 ( 전체적으로 저렴)

: 모두가 저렴한 상황이라면, 그 중에 저 평가 된 아파트가 무엇인지 조사하고 투자하기.

 

2.생활권 고정 비교평가 와 가격 고정 비교 평가

1)서울&지방 모두 공통점으로 확인

-매매/전세 (이후 공급이 없는게 맞는지, 전세 금액이 괜찮은지, 내가 감당 가능한게 맞는지)

-전세가율(계단식으로 올라갔나? 이상하게 한 점만 높게 올라갔다면 반드시 주변 단지와 비교 확인)

-투자금 (적은 투자금이 드는게 맞을까? 인테리어를 해야 하지는 않은가? 합계를 내보면 제일 저렴한 것으로)

-교통(강남접근성, 차량 이동시 소요시간)

-환경(주택지가 많은가? 새 아파트들이 많은가? 노래방이 많은가? 젊은 층 선호도 건물이 많은가?)

-학군(인기 있는 학군이 어디에 있고, 학원가들이 어디에 위치하는가? 최대한 가까운 곳을 선호함)

-가치 순서 체크 ( 공동 1순위가 나올 수 있음)

-가격 순서 체크(방 갯수. 구조 /평형구성이 영향을 끼침)

매물 비교 평가 시에 고민이 되는 매물이 나올 때에는 “내가 만약 거주 한다면 어떤 것을 고를까? 둘다 괜찮을까?”

입장을 바꿔서 생각해보면 조금 더 선택이 수월하며, 공동 1위가 나올 수 있으니 반드시 매물임장을 통해

더 저렴하게 살 수 있는지 파악해보는것이 중요함.(가만히 앉아서 끝내는 것이 아니라 반드시 현장으로 가보아야 한다.)

 

2)생활권 고정 비교 평가 시

: 시세 트레킹을 통해 모두 파악 후, 전고점 -20%인 것을 체크해서 비교 평가 하기.

비교 평가시에는 가치 판단 단계에서 호재를 검토하지 않지만, 같은 가격 같은 조건에 호재가 있다면 우선으로 검토.

매물 평가를 통해 1등이 나왔어도 다시 한번 더 저/환/수/원/리에 넣어 확인해보고 투자를 결정하기.

 

3)가격 고정 비교 평가 시

: 가격을 기준으로 묶어서 보기 때문에 그외의 부분은 다양하게 모일 수 있음.(평수,위치 등)

그렇기 때문에 어려운 비교 평가가 될 수 있으나 “나라면 어떤 것을 선택할까?”를 생각해보면서 순위를 정하고

저/환/수/원/리 를 적용해서 한번 더 검토해본다.

 

3.매임 후 단지 1등 뽑기

매임을 하고 난 이후에 정리가 어렵다면 4가지 질문을 스스로 해보기.

1)가격이 저렴한게 맞는가?

2)조건과 상태가 좋은게 맞는가?(수리가 얼마큼 되어있는가? 특올수리? 올수리? 시에 2개이상? 이하?)

3)투자금 적게 드는가?

4)내가 정말 감당이 가능한가? 역전세 맞는다면 내가 유지가 가능할까?

 

*수리비를 포함해서 총 내가 드는 비용을 확인해 보는 것을 잊지 않기.*

 

4. 저/환/수/원/리 내 투자자 삶속에 늘 상기 시키기.

5가지 원칙을 가지고 집을 장만하게 되었다고 할지라도 집을 꾸준히 유지하는 동안에도 수시로 주변 시세를 체크하면서

아직도 5가지 원칙에 해당되고 있는지 확인해 나아갈 때, 어떤 상황이 생기더라도 내 투자를 믿고 기다릴 수 있다.

 

5. 내 앞마당 리스크와 비교

힘이 드는 시기가 오더라도 앞마당을 늘리고 시세트레킹을 하는 것을 멈추지 말고 나아가야 한다.

그래야 보이는 것도 넓어지고, 나의 실력도 쌓이게 된다는 것.

단순히 강의만 듣고 끄덕 거리는 것으로 그치는게 아니라 실제 적용해보고 내 것으로 만들 수 있다는 것 명심하기.

 

6. 강의를 통해 나에게 반드시 적용할 점.

1)서적 읽는 것을 소홀히 하지 않고 열중이 마무리 되더라도 월부에서 추천한 책 모두다 읽어보기.

2)책 읽은 이후에는 '이 책을 통해 나에게 적용할 점이 무엇인지 적어보기)

3)지금의 시장이 어떤 시장인지 늘 확인하고 내가 생각하는 시장이 맞는지 멘토님들을 통해 점검해보기

4)앞마당을 꾸준히 넓히고 시세트레킹을 하기.

 

 


댓글


파랑파랑
25. 02. 21. 18:53

나스럽게님 완강 고생 많으셨습니당😍 꾸준하게 공부하는 게 참 중요하다는 걸 많이 느낀 강의였어요🥰 열중반에서 만든 독서 습관 앞으로도 꾸준히 화이팅이예요🍀

칸부
25. 02. 21. 23:43

3강 요약본이네요 소중하다 소중해.. 이대로만 하면 되는거죠?? 꼼꼼한 후기 감사해여 나스럽게님~~

나스럽게님~ 요약을 잘해주셨네요 고생하셨어요 ~월부 추천책 완독 및 실천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