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0일간 내것으로 만들 습관
3장 몰입은 뇌도 춤추게 한다.
= 몰입할 때 느끼는 쾌감의 원천 => 도파민, A10, 시냅스(=자아)
= 몰입은 산만한 상태에서 높은 집중도로 가는 행위로, 결코 저절로 이루어지지않기 때문에 반드시 어떤 힘이 작용해야 한다. 이 힘은 기대감, 즐거움 혹은 긍정적인 보상(쾌락) 또는 위기감, 불쾌감 혹은 고통인 부정적인 보상이다. 위기 상황에 쉽게 몰입하는 것은 위기감 떄문이고, 오락이나 취미활동에 쉽게 몰입하는 것은 즐거움 때문이다.
= 어떤 일이건 목적이나 목표를 만들고 강화시키면 그 일의 의미가 생겨난다. 설정된 목표에 가까워지면 즐거움을 얻고 목표와 멀어지면 부정적인 보상인 불쾌감을 얻는다. 이 목표와 추구하는 과정에서 몰입이 유도되는 것이다.
= 활동 위주(운동)의 몰입과 사고 위주(바둑)의 몰입, 능동적인 몰입(즐거움을 원동력으로 한)과 수동적인 몰입(위기 스트레스로 인한).
= 수동적인 몰입에서 능동적인 몰입으로 전환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을 두고 문제에 대한 몰입도를 올리는 ‘천천히 생각하기’다.
= 삶을 돌아보는 여유가 있어야 죽음에 대한 통찰이 가능하다. 오늘 하루 나는 얼마나 가치있는 시간을 보냈나. 내가 오늘 하루 한 일들이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고 각각 활동이 얼마나 가치 있는가. 이런 일상이 반복되면 인생의 마지막 순간 나는 자신의 삶에 대하여 만족할 수 있겠는가?. 이 질문이 바로 스스로 몰입을 선택하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
4장 교육과 몰입
= 진짜 천재는 자기 스스로 생각해서 그 방법을 찾아낸 사람이다. 항상 스스로 생각하는 것이 중요하다. 답을 보지 않고 문제에 대해 천천히 생각하고 풀기위해 계속 도전하는 것.
= 창의적인 노력은 해결책을 모르는 상태에서 해결책을 얻으려고 노력하는 활동이다. 스스로 풀수 없는 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는 활동과 몇 번의 시행착오 끝에 창의적인 결과가 나오고 창의성이 발달한다.
= 초보자를 위한 사고력 훈련법 : 비교적 쉬운 문제로 시작해야하며, 문제를 충분히 천천히 읽어서 완전히 이해한 후 문제를 덮고 연필도 책상 위에 놓아둔채로 가만히 생각한다. 생각만으로 문제를 푸는 방법에 대해 대략적인 구상을 한다. 이렇게 생각만으로 풀려고 하면 문제를 푸는데 시간이 소요된다. 그리고 책을 열어 계산을 해서 답을 얻으면 된다.
챌린지에 참여하는 멤버에게 응원 댓글을 남겨주세요. 혼자가면 빨리 가지만 함께 가면 멀리 갈 수 있어요.🚶♀️🚶♂️
댓글
오늘도 고생많으셨어요❤️ 좋은밤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