타락하거나 쇠퇴하지 않으려면 엔트로피가 증가하려는 경향에 맞서 이를 감소시키려는 노력을 끊임없이 해야 한다.
론 박사처럼 책임감과 자부심을 갖고 연구를 하면 은퇴하거나 죽을 때조차 후회가 없을 것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그리고 만약 내가 은퇴할 때 나의 연구 결과에 만족하지 못한다면 그 이유는 그때까지 연구에 임한 자세 때문일 것임을 깨닫게 되었다. 논문을 몇 편 쓰든 내가 그 연구를 수행하면서 최선을 다해 내 삶을 불태웠다면 후회할 이유가 없을 것이다.
연구의 우수성은 그 문제를 얼마나 오랜 시간 집중해서 생각하느냐에 달려있다.
의도적인 노력을 통해 수동적인 몰입을 능동적인 몰입으로 바꿀 수 있다. … 충분한 시간을 가지고 천천히 들어가려고 하면 수반되는 고통을 최소화할 수 있다. 충분한 시간을 두고 자율적으로 문제에 대한 몰입도를 올리는 방법이 바로 ‘천천히 생각하기’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책을 읽고 난 후 느낀 점 또는 깨닫게 된 점을 적어보세요
종종 책에서 보던 ‘아침에 깨어날 때 아이디어가 잘 떠올라서 머리맡에 노트와 펜을 두고 잔다’는 말이 정말이라는 사실을 알았다. 그 사람들은 정말로 자신의 주제에 몰입을 하고 있는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난 몰입을 해 본적이 없어 그게 말이 안되는 소리라고 생각했다.
세상에 ‘쓸데없는 일’이라는 건 없을 수도 있겠다. 내가 하고싶다, 하겠다고 생각하고 거기에 몰입하면 그것이 세상에서 가장 중요한 일이 될 수도 있는 것 아닐까. 어떤 일을 시작했다가도 내가 괜한 일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닌지 하는 생각에 쉽게 손 떼버렸던 나를 반성한다.
뭔가 시작하면 ‘빨리’, ‘급히’ 하게된다. 이미 나는 한 발 늦은 것 같고, 조급하고. 그런데 그 상태로는 오래 지속하지 못한다. 금방 흥미를 잃고, 핑계를 찾는다. 그런데 천천히 서서히 들어가면 고통을 최소화하고 오히려 몰입도를 올릴 수 있겠다. 천천히, 오래 생각하며 그 흥미를 유지하고 끌어올리자. 그리고 계속 그 주제에 대해서 생각하고 생각하고 몰입해보자. 그것이 빛을 발하기 위해서는 기본 지식도 충분히 쌓여있어야 한다. 꾸준한 강의와 독서로 기초를 다져가자.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책 내용 중 내 삶에 적용하고 싶은 점을 작성해보세요. 적용할 점은 구체적일수록 좋아요!
복습은 급하게 후루루루 가 아닌, 천천히 한 주제, 한 부분이라도 정해서 천천히 생각하면서 이해하는 방향으로 해보자. 천천히 생각을 하는 것이 기억에 더 오래 남고, 더 몰입도가 높다.
매달 스케줄러에 목표를 되새기는 시간을 넣자. 투자 공부가 나에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목적의식을 계속 기억하자. 그래야 내가 하는 일이 나에게 정말 의미있는 일이라고 생각하고 길게 몰입할 수 있다.
내가 흥미있는 주제에 대해서 생각하는 시간을 많이 갖자. 주제는 어떤 아파트의 시세그래프, 어떤 지역의 입지, 어떤 지역의 시세 등 무엇이든 될 수 있다. 주제가 있는 생각하는 시간은 낭비하는 시간이 아니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책을 읽으며 기억하고 싶은 ‘책 속 문구’가 있다면 페이지수와 함께 적어보세요
"천재의 수수께끼에 도전한 인지과학자들은 천재나 범인, 모두 문제 해결 방식이 동일한 과정을 밟는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다시 말해 천재와 보통 사람 사이의 지적 능력 차이는 질보다는 양의 문제라는 것이다."
뉴턴은 “다른 사람들도 나만큼 열심히 생각한다면 그들도 비슷한 결과를 얻을 것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