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도서후기

목표를 달성하면서 즐거움 또한 얻을 수 있는 몰입의 힘_몰입_제너럴최

  • 25.02.25

 

STEP1. 책의 개요

  1. 책 제목: 몰입 확장판
  2. 저자 및 출판사: 황농문/ RHK
  3. 읽은 날짜: 2025-02-23~2025-02-26
  4. 총점 (10점 만점): 8점 / 10점

 

STEP2. 책에서 본 것

[ Chapter 1장 9절 ] 잘못 굴러가고 있는 삶의 경로를 바꾸려면?

#의식의통합작업공간이론 #의도적노력 #무의식통제

본능이 이끄는대로 흘러가는대로 산다면 그 끝은 실패한 삶일 것이다. 인간의 본능, 습관은 늘 내리막이기 때문이다. 내가 원하는 방향으로 삶의 행로를 바꾸려면 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무의식을 통제할 수 있어야 한다. 무의식을 통제하기 위해서는 의식과 무의식과의 관계를 이해해야하고, 이는 ‘의식의 통합작업공간 이론’ ‘데카르트의 무대’ 로 이해할 수 있다. 내 인생은 무대 위에 어떤 것이 올려져 있느냐에 달려 있다. 내 의식의 무대 위에 현재 나에게 가장 중요한 문제 하나를 올려 놓고 스포트라이트를 계속 비춰주면(의도적 몰입이론), 나의 무의식에서 그 문제를 해결해낼. 탁월하고 창의적인 아이디어가 솟아오르는 순간을 분명 경험할 수 있다.

 

[ Chapter 2장 3절 ] 도파민으로 인한 중독과 뇌손상

#쾌락적자극 #중독 #도파민디톡스 #뇌손상

쾌락은 고통을 수반한다. 쾌락적 자극에 반복적으로 노출되면 도파민 분비가 증가하고 더 강한 자극을 추구하게 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같은 자극으로 얻는 쾌락은 줄어들고 이어지는 고통은 점점 더 강해진다. 이를 중독이라 한다. 중독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매체와의 단절이나, 쾌락을 추구하기 전에 고통을 겪는 방법 (독서, 글쓰기, 공부, 운동, 찬물샤워) 을 통해 도파민 디톡스를 추구할 수 있다. 고통을 먼저 선택하면 저축한 도파민을 사용 하는 것과 같아서 더 큰 보상을 얻을 수 있다는 원리다. 중독은 전두엽 손상을 야기한다. 전두엽은 뇌의 중심으로 인격과 행동조절에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매우 중요하다.

 

[Chapter 2장 5절 ] 몰입은 고도의 생산성과 지고의 즐거움을 만든다

#시냅스 #신경가소성 #생각에의한입력 #뇌과학

현재의 나는 지금껏 내가 해온 선택의 총합이라고도 할 수 있다. 우리는 자신이 어떤 사람이 될 것인지를 스스로의 의지로 선택할 수 있다. 시냅스는 자아를 형성하고 경험과 학습으로 변화한다(신경가소성). 우리가 어떤 생각이나 행동을 하면 그 결과가 시냅스의 영구적인 변화로 이어져 우리의 인격과 미래를 바꿀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몰입은 시냅스를 고도로 활성화 시키며 이 과정에서 능력과 감정(즐거움)을 빚어낸다. ‘내가 나를 바꿀 수 있다’는 뇌과학이 우리에게 주는 가장 중요한 메시지다.

 

[Chapter 2장 7절 ] 능동적인 몰입을 유도하는 죽음에의 통찰

#인생의마지막순간질문 #죽음 #몰입동기 #삶의 의미

죽음은 몰입을 하게하는 중요한 동기가 될 수 있다. 죽을 때 후회하지 않는 삶을 위해 몰입을 선택할 수 있다. 오늘 하루 나는 얼마나 가치 있는 시간을 보냈는가 ? 오늘 하루 내 가 한 일들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으며, 각각의 활동은 얼마나 가치 있는 것이었나? 이런 일상이 반복된다면 인생의 마지막 순간 나는 자신의 삶에 대하여 만족할 수 있겠는가? 이 질문이 몰입을 선택하는 중요한 동기가 된다. 서서히 다가오는 죽음에 대하여 내가 할 수 있는 최선은 살아 있는 동안 가장 삶다운 삶을 사는 것이다. 내가 가진 모든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 그런 삶을 살아야 하는 것이다.

 

[Chapter 4장 8절 ] 생각과 몰입이 최고의 경쟁력이다

#THINKHARD의패러다임 #행복

몰입으로 이어지는 Think Hard의 패러다임에서는 학습이나 일을 하는 과정 자체에서 즐거움을 얻는다. Think Hard의 패러다임에서는 보장되지 않는 미래의 행복을 위해 현실을 희생하는 것이 아니라 현재를 행복하게 산다. 미래의 행복을 담보로 현재를 저당 잡히는 것이 아니라 행복을 누리면서도 그 결과 보다 확실한 미래의 성공을 보장하는 것이다. 일이 삶의 수단이 되는 것보다 그 자체가 삶의 목적이 되어야 보다 의미 있고 삶다운 삶을 살 수 있다

 

STEP3. 책에서 깨달은 것

  1.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살기 위해서는 내가 가진 모든 능력을 최대로 발휘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
  2. 몰입으로 가는 과정에서 겪는 어려움에도 굴하지 않고 끝까지 생각하는 것을 멈추지 않아 결국에는 성취까지 경험해보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
  3. 몰입으로 인하여 내가 원하는 성과를 성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과정에서의 즐거움 또한 누릴 수 있다는 점
  4. 결과에 대한 걱정은 몰입을 방해할 뿐이며, 내가 현재 할 수 있는 것, 그 과정 자체를 즐기려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STEP4. 책에서 적용할 점

  1. 내 의식의 무대에 현재 나에게 가장 중요한 “경제적 자유”라는 목표를 올려놓고 지속적인 관심을 주어야 겠다. 이를 위해서, 매일 아침 일어나서 볼 수 있는 곳에 포스트잇으로 나의 목표를 적어놓고 지속적으로 떠올릴 수 있도록 하고, 다시 명상 및 긍정확언을 시작해야겠다.
  2. 슬로싱킹을 한번 시도해보아야 겠다. 출퇴근 시 5분, 10분 아무것도 못하고 멍하니 있는 시간들을 활용해서 약한 몰입 1단계에서 소개된 간단한 수학문제를 생각하는 식으로 연습을 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3. 숏폼, 인스타릴스 등을 경계해야겠다. 특정앱을 블락하는 앱을 다운받고, 유튜브 시청제한시간을 설정해야겠다. 쾌락에 앞서 고통을 먼저 수행하는 식으로 하루에 내가 목표한 것들을 모두 수행했을 때에만, 숏츠 등을 볼 수 있도록 규칙을 정해서, 도파민을 관리하도록 해야겠다.

 

 

STEP5. 책 속 기억하고 싶은 문구

P.373 인간은 머릿속을 잠시도 비워두지 않는다. 우리는 항상 무엇인가를 생각하는 중이다. 그러나 이것은 상념에 해당하는 ‘생각나기’로 내가 내 뇌의 주인인 상태가 아니라, 의도하지 않은 상념이 내 머릿속에서 자리를 차지 하고 있는 상태다. 이보다는 명확한 목표를 세우고 자신이 뇌의 주인이 되어 문제 해결을 위한 체계적인 사고를 하는 ‘생각하기’를 해야 내 두뇌의 잠재력을 십분 활용할 수 있고 지고의 즐거움까지 덤으로 얻을 수 있다.


댓글


제너럴최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