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중 잠깐 주상복합을 언급하셨던 거 같기는 한데.. 주상복합도 예산 범위 내에 있으면 포함시키는 게 좋을까요?
만약 제외해야 한다면 그 이유는 무엇일까요?
2. 실거래가 대부분 월세인 경우 전세가 기재방법
예산 범위 내에는 들어오는데, 전세 실거래는 거의 없고 대부분 월세 실거래만 있는 경우,
이런 매물은 제외하는 게 좋을까요?
만약 포함시켜야 한다면 전세가격을 어떻게 기재해야 하나요?
3. 면적 세대수의 의미
내마중 정리양식에서 “면적 세대수”를 모두 업데이트하려니 좀 번거로운 것 같은데,
면적 세대수는 어떤 용도로 활용하는지 궁금합니다.
댓글
창의적인별님 안녕하세요~ 1. 서울이나 수도권에 있고 사람들이 선호하는 주상복합이라면 포함시켜서 같이 보고 있습니다. 지방에서도 부산이나 대구는 주상복합을 좋아하기 때문에 같이 보고 있습니다. 2. 최근에 전세 실거래가 있다면 그것으로 적고 너무 오래된 거래라고 하면 그냥 공란으로 두고 있습니다. 궁금하면 부동산에 전화해서 요즘 얼마에 나가는지 물어보기도 합니다. 3. 면적 세대수가 하나의 칸으로 되어 있을까요..? 제가 아는 것은 면적은 20평대인지 30평대인지 구분하기 위해서 사용하고 수요가 많은 전용59, 84를 일반적으로 보고 있습니다. 세대수는 대단지일수록 거래량도 많고 환금성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세대수가 최소 200세대 이상은 되어야 환금성이 좋기 때문에 같이 보고 있습니다.
창의적인별 님 안녕하세요~! 아래 질문에 대한 답변이 별님의 고민을 해결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 1. 주/복 포함 여부 지역별로 주/복별로 다를 것 같습니다 ^^ 현재 임장지에서 주/복을 어떻게 생각하는지 즉 살고싶어하는 주/복인지에 따라서 포함 여부가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위에 내용은 현장에서 확인하시면 더욱 더 좋을 것 같습니다! 2. 실거래가 대부분 월세인 경우 전세가 기재 방법 현장이나, 전화임장으로 예상 전세를 확인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추가로 전세는 잘 나가지 않는 이유가 따로 있는지도 확인하면 판다하시는 데 더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3. 면적 세대수의 의미 저는 사람들이 좋아하는 비중, 수요라고 생각이 됩니다^^ 면적 세대수로는 해당 평형 혹은 면적이 아파트 단지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확인할 수 있고, 이는 즉 이 단지에 어떤 평형이 많기에 해당 평형 혹은 타입에 사람들이 더 많이 거주하고 싶어 하는 구나~를 생각해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단 평형,타입의 면적 세대수가 작더라도. 프리미엄으로 사람들이 좋아하는 단지도 있으니!! 현장에서 한번 더 확인해 보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별님의 꾸준한 투자 생활을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