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노력하는 삶을 하루하루 쌓는
삶은일기 입니다
투자자로서 바라보는 학군지에 대해
지난주부터 알아보고 있습니다
첫번째,
'학군지의 공통적인 특징'을 알아봤고
https://weolbu.com/community/2476742
두번째,
'서울수도권 학군지별 특징'을 알아봤습니다
https://weolbu.com/community/2510487
오늘은
몇가지 어플을 활용하여
해당 지역에서 선호하는 학교는 어디인지,
학군지와 비학군지 학교는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아실
https://asil.kr/asil/index.jsp
우리가 임보를 작성하며
'학군' 입지파트에서 많이 활용하는
가장 기본적인 어플입니다
이곳에서 임장지의 학교를 검색해서
학업성취율 평균을 통해 SABC 등급을 매기고,
추가로 특목고 진학율을 확인하여
소득수준이나 학교의 분위기를 가늠해봅니다
하지만
2016년도를 마지막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가 폐지되어
9년 전 자료라는 점,
2017년 이후 개교한 학교는 기록이 없는 점 등이
단점입니다
그럼에도 대부분 학교간 순위 변동이 크지 않아
지금도 유의미한 자료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2. 학구도안내서비스
https://schoolzone.emac.kr/gis/gis.do
'이 단지가 어느 중학교를 갈까?'
를 가장 직관적으로 볼 수 있는 곳입니다
이 서비스는
초/중등학교의 통학구역과 학교군을
지역주민이 편리하게 알 수 있도록 만든 곳으로
교육부, 교육청의 위탁을 받아 운영해
정확한 최신 학군 정보를 알 수 있습니다
전국의 대부분 중학교는
거주지 근거리 배정입니다
호갱노노, 네이버/카카오맵 에서도
학교의 위치를 알 수 있어
대략적으로 거리를 가늠할 수 있지만
학구도안내서비스에서
훨씬 정확하게 볼 수 있습니다
다만
단지와 학교의 정확한 거리만 알 수 있어
선호도를 파악하기는 힘든데요,
위의 사진 속
대천중-82.5%, 용문중-85.6%, 분포중-91.4%
처럼 각 학업성취율(아실)을 접목시켜보면
'대천중이 가까워서 가도 좋지만,
어쩌면 분포중을 더 보내고 싶어 하겠다'
정도를 예상할 수 있습니다
3. 학교알리미
https://www.schoolinfo.go.kr/Main.do
2017년 이후 개교한 신설학교에 대한 정보를
아실에서 찾을 수 없을 때,
현재 임장지가 '학군지'라서
미묘한 선호도를 확인하고 싶을 때
이곳을 확인합니다
① 중학교를 선택 → ② 전년도(2024)를 선택
→ ③ 학업성취사항 → ④ 교과별 학업성취 사항(3학년)
→ ⑤ 국어+수학+영어/3 = 학업성취율
이 순서로 확인하여 임보에 반영합니다
파란색 점선 안의 비율은
전체 응시자 중 하위그룹(E그룹) 비율인데
보통 이 수치까지 확인하는 일은 드뭅니다
(시간이 없어 그저 눈으로 쓱~)
하지만
학교의 분위기를 전혀 예측할 수 없을 때
보조지표 정도로는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원그래프는
졸업생 진로현황으로,
학군지에서의
특목고와 자사고의 비율이 월등하게 높음을
알 수 있습니다
더불어
오른쪽의 길쭉한 수치들은
세 학교의 하위그룹(E그룹)만 모아봤는데요
대치동의 대청중은 비학군지 OO중에 비해
하위그룹이 적고
특히 수학과 영어에 강한 것을 보여줍니다
4. 네이버부동산
단지의 매매, 전세가를 알기 위해
가장 많이 활용하는 곳이지만,
초등학교의 전체 정보를
가장 쉽게 확인할 수 있는 곳 입니다
보통 확인하는 부분은
전교 학생수(지역 내에서의 선호도),
학급당 학생수(24명 이상이면 과밀→선호 높음),
학생수 증가(고학년으로 갈수록 늘어나면 선호),
정도 입니다
학급당 학생수가 24명 이상이면
지역내에서도 선호도가 꽤 높은 편이라
임보에 꼭 표기해둡니다
5. 시사인
https://student.sisain.co.kr/
2008년~2024년까지의
전국 초등학교 증감을
가장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곳입니다
학생수의 증감을 나타내는 그래프에
마우스 커서를 올리면
오른쪽 사진처럼 해당 초등학교의 학생수 증감 정보를
바로 알 수 있는데,
특히
폐교된 초등학교(검은색 그래프),
사립초등학교까지 한꺼번에 나와서
정보 확인이 쉽습니다
참고로
전국 대부분의 초등학생이 줄고 있어서
학생수 감소는 조금 보수적으로 보셔야 합니다
지금까지
어플을 활용한 학교와 학군지 확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미 활용하고 계신 분들도 많으실텐데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