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련 강의
열반스쿨 중급반 - 10억 달성을 위한 부자 마인드 갖는 법
월부멘토, 밥잘사주는부자마눌, 양파링, 잔쟈니, 주우이

변하지 않는 확실한 투자 원칙
저&환&수&원&리
다섯 가지를 시원하게 뇌에 딱! 박히는 비유로 강의해 주셔서 😊 감사합니다
2강 1~3차시가 근래 들은 월부 강의 중 제일 유익했어요!
임보를 쓰다 보면 투자 원칙 다섯 가지에 부합하는 물건이 아예 없는 지역도 있다 보니,
투자 원칙 중 몇 가지는 따지지 않고 물건을 볼 수 밖에 없었는데요.
문제는 몇 번 이러다 보니 해당 원칙을 아예 생각하지 않는 저를 발견할 때가 있었어요.
그래서 이게 맞나? 항상 찜찜했는데요,
저환수원리를 실제 투자에 어떻게 적용, 점검해야 하는지 구체적인 기준을 들어 주셔서 참 명쾌했습니다.
BM
저환수원리 체크리스트 업데이트해서, 매 달 원칙에 맞는지 점검하겠습니다.
저평가 파트가 유독 더 와 닿았는데요,
상대적 저평가의 본질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상대적'이라는 말에 사실 정답이 다 들어 있었어요.
저희가 하는 일은 결국 가치와 가격을 대조해서, 가치와 가격이 어깃장난 부분을 발견해야 하는 일인데요.
단지 순위는 항상 시간을 들여 고민하면서,
지역 순위는 입지 등급표를 만들 뿐 제대로 고민해 서열화한 적이 없었어요.
물론 월부에서는 내 앞마당 중 좋은 지역 순으로 등급표를 붙이라고 가이드해 주고,
이 작업이 곧 지역 서열화 작업이긴 하지만, 앞마당이 적은 사람은 내 앞마당이
전체 시장에서 어느 정도 위치인지 위치 가늠이 안 된다는 치명적 단점이 있었던 것 같아요.
아직 앞마당이 아니더라도, 지역의 평균적 가치 (수요자 소득) & 평균적 가격 (평당가)을 한 눈에 대조해볼 수 있는
테이블을 하나 만들어야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단순히 내가 좋다고 생각하는 것이 아닌
해당 지역, 해당 상품 구매자가 어느 정도 소득 수준이고, 구매자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 생각하고 상품을 파는
사업가, 자영업자의 마인드로 물건을 준비해 나가는 것이 무엇보다 핵심인 듯 싶습니다.
그리고 한가지 더 덧붙이자면,
사업자 관점에서 바라볼 때 현재 구매자들은 신축에 대한 욕구가 전보다 더 커져서
중단기적으로 더 '돈이 되는' '현금 흐름을 더 빨리 만들어 주는' 상품은 신축이지만
결국 부동산은 땅을 사는 것이다 :)
이 마음을 가지고 하는 것이 관리 측면에서 더 수월한 방향이라는 확신이 듭니다.
비교가 어려울 땐, 사업자 관점에서 생각해보면 답이 나온다!
BM
지역 서열화 작업 하기
댓글
영내기님에게 첫 댓글을 남겨주세요.